제목 | 신풍리(新豊里) | ||||
---|---|---|---|---|---|
작성자 | 논산문화원 | 등록일 | 2002-05-09 | 조회 | 938 |
첨부 | |||||
연산군 적사곡면(赤寺谷面)의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
합에 따라 풍덕리(豊德里), 신덕리(新德里), 보우리(洑隅里), 안 천리(顔川里), 중리(中里)의 각 일부와 은진군 가야곡면(可也谷 面)의 월경리(越境里) 일부를 병합하여 신덕과 풍덕의 이름을 따 서 신풍리라 하고 논산군 부적면에 편입하였다. 그후 안천리(顔川里)가 1974년 탑정 저수지 숭상공사로 인하여 수몰되어 남아 있는 곳은 신풍리에 편입하게 되었다. 수몰된 안 천리는 큰 들을 흐르는 큰내 안쪽에 작은 내가 있는 지역이라 하 여 안내 또는 안천(安川)이라 부르던 것이 변하여 안천(顔川)이 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본래 연산군 적사곡면(赤寺谷面)의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 역 폐합에 따라 신평리(新坪里), 대명리(大明里), 한양리(漢陽 里)의 각 일부와 은진군 가야곡면(可也谷面)의 월경리(越境里)일 부를 병합하여 안천리라 하고 논산군 부적면에 편입하였다가 탑 정저수지에 수몰됨에 따라 신풍리에 편입하게 되었다. 신풍리의 행정구역은 1리로 되어 있으며 41세대에 166명의 주민 이 살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볼마루, 안천말, 풍 덕말 등이 있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가장골[골] : 계백장군 묘소가 있는 골짜기로 계백장군이 황산벌 에서 전사한 후 가매장 했다하여 가장골이라 부른다고 한다. 거정터고개[고개] : 볼마루에서 연산면 고정리로 넘어가는 고개 이다. 계백장군묘(階伯將軍墓)[묘] : 볼마루 북쪽 산기슭에 있으며 명 장 계백장군의 묘소이다. 고정사(高井寺)[절] : 고정절이라고도 하는데 고정산에 있었다. 지금은 폐사되었으나 광산 김씨들이 관리하는 건물이 되었다. 고정산(高井山)[산] : 쇠머리산 또는 우두산이라고도 하며 신풍 리와 연산면 고정리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 144m로 산모양이 마치 쇠머리처럼 생겼다하여 고려 광종때 은진미륵 머리돌을 이 산에 있는 돌로 만들었다고 한다. 고정절[절] : 고정사라고도 하며 고정산에 있었다. 대명골[마을] : 대명산 서쪽에 있었던 마을로 안천리에 속해 있 었는데 탑정저수지 숭상공사 후 수몰되었다. 대명리(大明里)[마을] : 대명산 아래에 있었던 마을로 안천리에 속해 있었는데 탑정저수지에 수몰되었다. 대명산(大明山)[산] : 신풍리와 신교리 사이에 있는 산으로 높 이 180m로 산모양이 마치 대망이 즉 이무기와 같이 생겼다고 한 다. 대명이[마을] : 안천리에 속해 있던 마을로 대명산 아래에 있었 고 대명리라고 하는데 탑정지 수지에 수몰되었다. 마애불(磨崖佛)[부처] : 신풍리 산 13번지에 있으며 영사암에서 서북쪽으로 50m정도 거리에 있는 암바위면에 조각된 불상으로 조 각수법으로 볼 때 고려말기의 불상으로 추정하고 있다. 보우(洑隅)[마을] : 볼마루라고도 하는데 신풍리의 원래의 마을 로 보가 있다. 볼마루[마을] : 보우라고도 하며 신풍리의 원래의 마을이다. 새뜸[마을] : 안천리에 속해 있었으며 신평이라고도 하는데 충 곡 남쪽에 새로된 마을로 저수지에 수몰되었다. 쇠머리산[산] : 고정산이라고도 하며 신충리와 연산면 고정리 경 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 144m이다. 수렁들[들] : 안천 앞에 있었던 들로 지금은 탑정저수지가 되었 다. 신풍리마애불[고적] : 고정산 남쪽에 있으며 암벽에 선각되어 있 는 불상으로 유형문화재 제54호로 지정되어 있다. 신평(新坪)[마을] : 새뜸이라고도 하며 지금은 탑정저수지에 수 몰되었다. 안내[마을] : 큰내 안쪽에 작은 내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안내 또는 안천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저수지에 수몰되 었다. 안천(安川)[마을] : 안내라고도 하는데 지금은 저수지에 수몰되 었다. 안천말[마을] : 깨끗한 물로 얼굴을 씻을 수 있는 마을이라하여 안천말이라 부른다고 하는데 탑정저수지가 생기면서 마을 앞까 지 물이 들어와서 말대로 되었다고 한다. 영사암(永思庵)[고적] : 암자를 겸한 수호사로 유형문화재 제129 호로 지정되어 있다. 영사암지(永思庵址)[사지] : 영사암이 있던 사지로 석탑재 등이 남아 있다. 우두산(牛頭山)[산] : 고정산 또는 쇠머리 산이라고도 하며 신풍 리와 연산면 고정리 경계에 있다. 중장골(重葬)[골] : 계백장군 묘서 건너편 골짜기를 중장골이라 부른다. 백제와 신라가 격전을 벌린 후 시체를 거듭매장한 곳이 라 하여 중장골이라 부른다고 한다. 풍덕리(豊德里)[마을] : 풍덕말이라고도 하는데 탑정저수지가 생 기면서 마을 전체가 물속에 들어가 있다. 풍덕말[마을] : 풍덕리라고도 하는데 탑정저수지가 생기면서 물 속에 들어가 있다. 풍덩말[마을] : 지금은 탑정 저수지 속에 들어있는 마을이었는 데 예부터 물속에 풍덩할 마을이라 하여 풍덩말이라부르던 것이 말대로 탑정저수지 속에 풍덩하여 버렸다고 한다. 변하여 풍덕 말 또는 풍덕리라고도 한다. 휴정서원(休亭書院)[서원] : 숙종26년(1700년)에 창선하여 구봉 송익필을 비롯 8위를 배향하고 있다. 대원군때 철폐되었다가 1919년 중건하였으나 탑정저수지가 생김으로 수몰되어 현위치로 옮겨 단소를 마련했다가 1985년 사우를 복설하여 위패를 봉안 제 향하고 있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