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외성리(外城里) | ||||
---|---|---|---|---|---|
작성자 | 논산문화원 | 등록일 | 2002-05-09 | 조회 | 908 |
첨부 | |||||
외성산성(外城山城)이 있어 외잣, 외재 또는 외성이라 하였다.
본래 연산군 외성면(外城面)의 지역이었는데 덕평(德坪), 부황 (夫皇), 다오개(多五介), 관학(觀學), 묵동(墨洞), 용구산(甬九 山), 신외(新外), 서당동(書堂洞), 상외(上外), 분동(粉洞), 잔 포(殘浦), 중외(中外), 하외(下外), 정외(丁外)와 14개리를 관할 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외리, 분동, 잔포리, 중 외리, 하외리, 정외리, 각 일부와 적사곡면(赤寺谷面)의 감곡리 (甘谷里) 일부와 부인처면(夫人處面) 산소리(山所里), 신삼거리 (新三巨里)를 병합하여 외성리라 하고 논산군 부적면에 편입하였 다. 행정구역은 외성 1, 2, 3리로 되어 있으며 176세대에 637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노루재, 북단 골, 분동, 상외리, 새삼거리, 왕덕리, 왕북리, 외성, 자라모지, 작은골, 진개울, 장사바위, 장자못 등이 있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노루재[마을] : 자라모지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지형이 마치 노 루모양으로 생겼다고 한다. 김씨들의 산소가 있다하여 산소리 라 고도 부른다. 대장보[보] : 대장봇들 위에 있는 보이다. 대장봇들[들] : 하지 봇들 아래쪽에 있는 들인데 여기에 대장보 가 있다. 북단골[마을] : 신삼거리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부터 불당이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불당곡이라 부르던 것이 면하여 북단골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분동(粉洞)[마을] : 장자못 동쪽에 있는 마을로 상외성이 생긴 이후에 생긴 마을로 국도변에 자리잡고 있다. 불당곡(佛堂谷)[마을] : 옛말 불당이 있었다고 하며 불당골이라 고도 하며 신삼거리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불당골[마을] : 불단골 또는 불당곡이라고도 하며 신삼거리 남쪽 에 있는 마을이다. 산소리(山所里)[마을] : 노루재라고도 하며 자리모지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김씨들의 산소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산소리라 부르 게 되었다고 한다. 상외리(上外里)[마을] : 상외성 또는 위외성이라고도 하며 외잣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 영산군 외성면사무소가 있었다고 한다. 상외성(上外城)[마을] : 외잣 남쪽에 있는 마을로 상외리라고도 한다. 새삼거리[마을] : 노루재 북쪽에 있는 마을로 새로된 세 갈래의 큰 길이 있다하여 신삼거리라고도 하며 옛날 그릇을 굽던 사기소 가 있었다고 한다. 성태봉[마을] : 외성과 외잣 사이에 있는 마을이다. 신삼거리(新三巨里)[마을] : 새로된 삼거리가 있는 마을이라 하 여 새삼거리 라고도 부르며 노루재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오목고개[고개] : 상외성에서 연산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지형이 오목해서 오목고개라 부르던 것이 변하여 올목고개 또는 옹목고 개라고도 부른다. 올목고개[고개] : 오목고개 또는 옹목고개라고도 부르며 상외성 에서 연산으로 가는 고개이다. 옹목고개[고개] : 오목고개 또는 올목고개라고도 부르며 상외성 에서 연산으로 가는 고개이다. 왕덕리(旺德里)[마을] : 왕덕이라고도 부르는데 상외성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1938년 왕덕리 일부가 논산읍에 편입되었다. 왕덕이[마을] : 왕덕리라고도 하며 상외성 동쪽에 있는 마을이 다. 왕북리(旺北里)[마을] : 왕덕리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외성(外城)[마을] : 외성리라고도 하며 외성산성이 있는 마을이 라하여 외성 또는 외잣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외성산성(外城山城)[산성] : 외성리에 있는 산성으로 약 310간이 고 토성(土城)이다. 외잣[마을] : 외성 산성이 있는 마을로 외성 또는 외재라고도 부 른다. 외재[마을] : 외성 또는 외잣이라고도 부른다. 위외성[마을] : 상외성 또는 상외리라고도 하는데 외잣 남쪽 위 에 있는 마을이다. 자라모지[마을] : 잔개울 옆에 있는 마을로 산의 모양이 마치 자 라처럼 생겼다고 한다. 작은골[마을] : 자라모지 남쪽에 있는 좁은 골짜기에 형성된 마 을로 현재 감곡초등학교가 있다. 진개울[마을] : 잔포라고도 하는데 상외성 남쪽에 있는 마을로 잔개울이 있다. 잔포(殘浦)[마을] : 상외성 북쪽에 있는 마을로 잔개울이라고도 한다. 장사바우[바위] : 대성 북쪽 중턱에 있는 바위로 높이가 약 20 자 정도 되며 장사암 이라고도 부른다. 장사암(壯士巖)[바위] : 장사바우라고도 하며 대성 북쪽 중턱에 있다. 장자못[마을] : 장자지라고도 하는데 잔개울 남쪽에 있는 마을 로 장자못이라고도 한다. 제이외성교(第二外城橋)[다리] : 제일외성교 아래쪽에 있는 다리 로 길이가 8.5m 된다. 제일외성교(第一外城橋)[다리] : 외성리에 있는 다리인데 길이 가 5.2m이다. 중숫골[골] : 자리모지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중외성(中外城)[마을] : 외성리 중간에 있는 마을인데 외성1리 의 큰 마을이다. 큰골[골] : 작은 골 남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하외성(下外城)[마을] : 외성리 아래쪽에 있는 마을로 하외리라 고도 한다. 하지보[보] : 하지봇들 위에 있는 보이다. 하지봇들[들] : 자라모지 앞에 있는 들로 하지보가 있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