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충곡리(忠谷里) | ||||
---|---|---|---|---|---|
작성자 | 논산문화원 | 등록일 | 2002-05-09 | 조회 | 834 |
첨부 | |||||
백제의 만고충신 계백장군이 전사한 수락산(首落山)이 있고, 사
육신(死六臣)의 한사람인 매죽헌(梅竹軒) 성삼문(成三問)의 유허 (遺墟)가 있어 그 충절을 추모하여 충곡(忠谷)이라 하였다. 본 래 연산군 적사곡면(赤寺谷面)의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가 한양리(漢陽里), 한북리(漢北里), 중리(中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충곡리라 하고 논산군 부적면에 편입하였다. 행정구역은 충곡1, 2리로 되어 있으며 106세대에 334명의 주민 이 살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단지말, 새뜸, 작은 뜸, 중리, 충곡, 한양말 등이 있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각골[골] : 한양말 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각골이라고도 부른다. 구수들[들] : 한양말 앞에 있는 들을 구수들이라고 하는데 지형 이 마치 구수와 같이 생겼다고 한다. 단지말[마을] : 한북리 서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 그릇을 굽던 사 기소가 있었다고 하며 여기 사기소에서 굽던 단지고 고왔지만 마 을이 마치 단지와 같은 형태라고 한다. 산제당(山祭堂)[신당] : 한양말 뒷산에 있는 산신제의 제당이다. 새뜸[마을] : 충곡 남쪽에 새로된 마을이다. 성삼문유허비(成三問遺墟碑)[비] : 충곡서원 앞에 있는 매죽헌 성삼문 유허비이다. 현종14년(1673년)에 세웠고 송시열이 비문 을 짓고 김비가 글씨를 썼으며 김만기가 전(篆)한 비이다. 수락산(首落山)[산] : 충훈산이라고 불렀는데 충곡리와 연산면 고정리 사이에 있는 산으로 백제의 계백장군 머리가 떨어진 곳이 라 하여 지금은 수락산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음지뜸[마을] : 충곡2리에 음지뜸이 있다. 작은뜸[마을] : 한양말 북쪽에 있는 작은 마을로 한북리라고도 한다. 작은한양말[마을] : 한북리라고도 하며 한양리에서 작은 마을이 다. 중리[마을] : 충곡과 한양말 중간에 있는 마을로 중말이라고도 한다. 중말[마을] : 중리라고도 하며 충곡 남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충곡(忠谷)[마을] : 충곡리라고도 하며 충신계백장군이 전사란 수락산이 있고 매죽헌 성삼문의 유허가 있어 그 충절을 추모하고 저 충곡이라 하였다고 한다. 충곡서원(忠谷書院)[서원] : 충곡리에 있는 서원으로 조선시대 숙종18년(1692년)에 창건하여 대원군때 철폐되었다가 1935년 재 건한 서원으로 계백장군을 주향으로 사육신과 그 외에 11위를 배 향 춘추로 제향을 올리고 있다. 충혼산(忠魂山)[산] : 충훈산이라고도 부르며 계백장군이 전사 한 곳이라고도 한다. 충훈산(忠勳山)[산] : 충곡리와 연산면 고정리 경계에 있는 높 이 140m되는 산으로 계백장군이 전사한 곳으로 그의 충절을 찬양 하여 충훈산 또는 충혼산, 수락산 이라고도 부른다. 큰뜸[마을] : 한양말이라고도 하며 충곡 남동쪽에 있는 마을이 다. 큰한양말[마을] : 한양말이라고도 하는데 한양말에서 큰 마을이 다. 한북리(漢北里)[마을] : 한양리 북쪽에 있는 작은 마을로 작은말 이라고도 한다. 한양리(漢陽里)[마을] : 큰뜸 또는 한양말이라고도 하며 충곡 남 동쪽에 있는 큰 마을이다. 한양말[마을] : 큰뜸, 한촌, 한양리라고도 하는데 충곡 남동쪽 에 있는 큰 마을이다. 한촌(漢村)[마을] : 한양말이라고도 하는데 충곡 남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