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대명리(大明里)-1 게시판 상세보기

[논산문화원] - 지명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대명리(大明里)-1
작성자 논산문화원 등록일 2002-05-09 조회 875
첨부  
 
노성군 상도면(上道面)의 지역으로 강줄기르 경계로하여 지형
이 마치 대망이와 같다하여 대망골이라 불렀다 한다. 그후 무안
박씨(務安 朴氏)가 살면서 대명동이라 부르게 되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후동(後洞), 양암리(陽岩里), 강구리(康衢
里), 금동(琴洞), 시목동(柿木洞)을 병합하여 대명리(大明
里)라
하여 논산군 상월면에 편입되었다.

행정구역은 대명 1, 2리로 되어 있으며 인구는 190세대에 642명
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감나무
골, 강거름, 거문점, 띠올, 벌뜸, 별바위, 사잣골, 음지뜸, 점
말, 진등 등이 있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감나무골[마을] : 후동 동쪽에 있는 마을인데 감나무가 많아서
감나무골이라 불렀다 하며 시목동이라고도 부른다.
강거름[마을] : 강구라고도 하는데 대망골 북서쪽에 있는 마을이
다. 땅이 걸어서 농사짓기에 아주 좋아 강거름이라 부르게 되었
다고 한다.
강거름산[산] : 강거름에 있는 작은 산으로 높이 45.5m이다.
강구(康衢)[마을] : 대명동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강거름이라고
도 부른다.
거문점[마을] : 벌뜸 동쪽에 있는 마을인데 금동이라고도 한다.
이성계가 이씨조선을 건국하고 무학대사를 지켜 신도 도읍을 목
적으로 계룡산 산세를 돌아볼 때 이곳에 와서 보니 풍수리지상으
로 선녀탄금형(仙女彈琴形)의 명당이 있다 하였다.
거문점들[들] : 거문점 남쪽에 있는 들이다.
거문점 방죽[못] : 거문점 남쪽에 있는 저수지이다.
국사봉(國師峯)[산] : 상월면과 두마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인데
높이가 575m이며 향적산이라고도 부른다.
금동(琴洞)[마을] : 거문점이라고도 부르며 벌뜨 동쪽에 있는 마
을이다.
긴동[마을] : 거문점 북쪽에 있는 마을로 점말 동쪽 긴등성이에
있다.
농바위[바위] : 사주막 아래에 있는 큰 바위로 형체가 마치 농처
럼 생겼다고 한다.
누룩바위[바위] : 누룩박날에 있는 큰바위로 형체가 누룩처럼 생
겼다하며 계룡할머니다 이 누룩바위를 치마에 쌌다는 전설이 내
려오고 있다.
누룩박날[골] : 국사봉 북쪽 아래에 있는 골짜기로 누룩바위가
있다.
대망골[마을] : 대명리를 말하며 지형의 형태가 마치 대망이와
같다하여 대망골이라 불렀다고 한다.
대명골[마을] : 옛날 대망골이라 부르던 마을인데 무안 박씨들
이 살면서 대명동 또는 대명골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며 지금
은 대명리라 부른다.
대명내[내] : 대명리 향적산에서 발원하여 석종리의 줄내로 흘
러 들어가는 내이다.
대명동(大明洞)[마을] : 대망골을 대명동이라 고쳐 부르게 되었
으며 지금은 대명리라 한다.
대명방죽[못] : 대명리에 있는 방죽이다.
대명천(大明川)[내] : 대명내라고도 하는데 향적산에서 발원하
여 석종리의 줄내로 흐르는 내를 말한다.
뒷갱뱅이[들] : 벌뜸 북쪽에 있는 들이다.
띠울[마을] : 대명골 뒤쪽에 있는 마을로 후동이라고도 부른다.
맨재[산] : 진동 뒤에 있는 산인데 높이가 415m로 마치 국사봉
에 매어달린 것 같이 보인다하여 맨재 또는 현령이라고도 부른
다.
모래보[보] : 별바위 북쪽내에 쌓았던 보인데 지금은 없어졌다.
벌뜸[마을] : 강거름 동쪽 벌판에 있는 마을인데 평리라고도 부
른다.
별바위[마을] : 강거름 서남쪽에 별바위가 있는데 그 밑에 있는
마을로 양암이라고도 부른다.
별바위[바위] : 강거름 서남쪽에 있는 바위로 산기슭 양지쪽에
있다하여 양암이라고도 부른다.
별바위고개[고개] : 별바위에서 대명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부두날[골] : 맨재 서남쪽 아래에 있는 골짜기이다.
분터골들[들] : 감나무골 북쪽에 있는 들이다.
사곡(蛇谷)[마을] : 음지뜸 남동쪽에 있는 마을인데 옛날엔 이
마을에 뱀이 많아서 사곡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며 사잣골이라
고도 부른다.
사잣골[마을] : 사곡이라고도 부르며 음지뜸 남동쪽에 있는 마을
이다.
송살미[들] : 모래보 옆에 있는 들이다. 예전에 송장군 묘소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시목동(柿木洞)[마을] : 감나무골이라고도 부르는데 후동
동쪽
에 있는 마을이다.
앞생뱀이[들] : 강거름, 벌뜸, 함덕골, 거문점 남쪽에 있는 큰
들이다.
양암(陽岩)[마을] : 별바위라고도 하며 별바위 아래에 있는 마을
이다.
양암(陽岩)[바위] : 강거름 서남쪽에 있는 바위로 산기슭 양지쪽
에 있어 별바위라고도 부른다.
양지뜸[마을] : 감나무골 남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음지뜸[마을] : 대명골 남동쪽에 있는 마을인데 박산밑에 있어
그늘이 잘 진다하여 음지뜸이라 부른다 한다.
작은산맹이[산] : 위산맹이 남쪽에 있는 산으로 높이 274m이다.
점말[마을] : 강거름 북쪽에 있는 마을인데 옛날 이마을에 옹기
점이 있었다 하며 점촌이라고도 부른다.
점촌(店村)[마을] : 점말이라고도 부르며 강거름 북쪽에 있는 마
을이다.
진동(辰洞)[마을] : 점말 동쪽 긴등성이에 있는 마을로 진등이라
고도 부른다.
진동들[들] : 거문점 북쪽에 있는 들이다.
진등[마을] : 진동이라고도 부르며 점말 동쪽 긴등성이에 있는
마을이다.
큰산맹이[산] : 향적산 남쪽에 있는 산으로 높이 446m이다.
평리(坪里)[마을] : 강거름 동쪽 벌판에 있는 마을인데 벌뜸이라
고도 부른다.
함덕골[마을] : 거문점 남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가시로 호랑이
를 잡기 위해 함정을 팠던 곳이라한다.
향적산(香積山)[산] : 높이 575m의 산으로 상월면과 두마면 경계
를 이루고 있으며 국사봉(國師峯)이라고도 부른다.
현령(縣嶺)[산] : 맨재라고도 부르며 진동 뒤에 있는 산으로 산
의 형태가 마치 국사봉에 매어달린 것처럼 보인다 한다.
호랑이굴[굴] : 서낭당골에 있는 굴이다.
후동(後洞)[마을] : 대명골 뒤 골짜기에 있는 마을로 띠울이라고
도 한다.
행상바위[바위] : 사잣골 마을에 있는 바위인데 바위의 형태가
마치 상여를 따라가는 듯한 묘형의 바위로 불사이군의 지조를 지
키라는 전설이 깃들여 있기도 하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