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월오리(月午里) 게시판 상세보기

[논산문화원] - 지명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월오리(月午里)
작성자 논산문화원 등록일 2002-05-09 조회 771
첨부 hwp 0703d_109.hwp
노성군의 지역이었는데 앞에 있는 계룡산(鷄龍山)의 모양이 마
치 달과 같이 보인다 하여 다리실, 월오동(月午洞)이라 하였다.
또 노성군 월오면(月午面)이 되어 산성(山城), 원동(院洞), 주막
(酒幕), 학당(鶴塘), 통산(通山), 중리(中里), 낙동(樂洞), 신리
(新里), 충보(忠洑), 당산(堂山), 산소(山所), 왕정(旺井)의 12
개리를 관할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당산리(堂山
里), 산소리(山所里)를 병합하여 월오리라 하고 논산군 상월면
에 편입되었다.

행정구역은 월오1, 2 리로 되어 있으며 인구는 142세대에 476명
의 주민이 거주라고 있다. (1993.12.31 현재) 자연부락으 내동,
다리실, 당산, 대사마루, 목과동, 산성골, 산소리, 상신대, 새
터, 소수골, 신촌, 하신대, 족자곡, 허텃골 등이 있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내동(內洞)[마을] : 위새터 안쪽에 있는 마을로 안말이라고도 부
른다.
다리실[마을] : 앞에 있는 계룡산의 모양이 마치 달과 같다하여
다리실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며 월오리라고 한다.
당미[산] : 당산미 뒤에 있는 산인데 이 산에는 산제당이 있다.
당산[마을] : 위새터 북쪽에 있는 마을로 당산미라고도 한다.
당산[산] : 당미라고도 하는데 당산미마을 뒤에 있는 산으로 산
제당이 있다.
당산미[마을] : 산제당이 있는 당산 밑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당
산미라 부르며 위새터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대사마루[마을] : 산성골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죽헌이라고도 부
른다.
모과나무골[마을] : 소수골 북쪽에 있는 마을인데 옛날에 모과나
무가 많이 있어 모과나무골이라 부르게 되었다하며 목과동이라고
도 한다.
목과동[마을] : 모과나무골이라고도 하며 소수골 북쪽에 있는 마
을이다.
산성골[마을] : 노성산 밑에 있는 마을로 산성동이라고도 부른
다.
산성골방죽[못] : 산성골에 있는 방죽으로 산성동제라고도 한다.
산소말[마을] : 당산미 서쪽에 있는 마을인데 산소리라고도 한
다.
상신대(上新垈)[마을] : 새터 위쪽에 있는 마을로 위새터라고도
한다.
새터[마을] : 대사마루 옆에 있는 마을로 새로된 마을이라 하여
새터 또는 신대라고도 부른다.
서니암[사찰] : 월오리 뒷산에 있는 암자형의 절이다.
서리골[마을] : 노성산 바로 밑에 있는 마을로 옛날에는 숲이 무
성하고 계곡이 깊고 물이 좋으며 산의 지열이 많아 몸이 쇠약한
사람들이 한진막을 지어놓고 한진을 하여 몸이 완치된다 하여 요
양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소수곡(小水谷)[마을] : 산성골 서쪽에 있는 마을인데 소수골이
라고도 한다.
소수골[마을] : 마을에 식수가 적다고 하며 산성골 서쪽에 있고
소수곡이라고도 한다.
신작로뜸[마을] : 새터앞 큰 길가에 새로된 마을로 신촌이라고
도 한다.
아래새터[마을] : 새터 아래쪽에 있는 마을로 하신대라고도 한
다.
위새터[마을] : 새터 아래쪽에 있는 마을로 상신대라고도 한다.
족자곡[마을] : 새터 서쪽에 있는 마을인데 쪽잣골이라고도 부른
다.
허텃골[마을] : 당산미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