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주곡리(酒谷里) 게시판 상세보기

[논산문화원] - 지명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주곡리(酒谷里)
작성자 논산문화원 등록일 2002-05-09 조회 1001
첨부  
 
노성군 하도면(下道面)의 지역으로서 옛날 이마을 앞에 큰 길
이 있었고 그 큰길가에는 술집이 많이 있어서 술골 또는 주막거
리 주곡(酒谷)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주
막리(東酒幕里), 서주막리(西酒幕里)를 병합하여 주곡리(酒谷里)
라하여 논산군 상월면에 편입되었다. 주곡리는 1982년 논산군에
서 처음으로 범죄없는 마을로 지정되었다.

행정구역은 주곡리 1리로 되어 있으며, 인구는 80세대에 255명
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동주막
리, 마근동, 사거리, 술골, 용적골 등이 있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개티[고개] : 술골에서 소울로 넘어가는 고개로 효자 박장손(朴
長孫)이 소울에서 살때에 좋은 물건이 생기면 개등에 실어서 아
버지가 사는 술골로 보냈다고 한다. 그래서 개가 넘어 다니던 고
개라 하여 개티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며 구치 또는 술고개, 우치
라고도 한다.
구치(狗峙)[고개] : 개티 또는 술고개, 우치라고도 하는데 술골
에서 소울로 넘어다는 고개이다.
돌다리[다리] : 주곡리로 들어가는 입구에 조그마한 개울이 있었
는데 이곳에 놓여있던 다리이다. 다리가 없어 마을 사람들이 크
게 불편을 느끼자 이곳에 시집온 이삼(李森)장군의 부인이 한밤
중에 남몰래 얿이 1m, 길이 2m, 두께 40cm의 바위를 손수
치마
에 얹어서 날라다가 다리를 놓았다고 한다. 지금은 이다리는 허
물어져 돌만 남아있고 시켄트로 다리를 새로 놓았다. 돌로 다리
를 놓았다하여 돌다리라고 부른다.
동주막거리(東酒幕)[마을] : 노성천 동쪽에 있는 마을인데 옛날
에는 연산읍, 노성읍, 신도안으로 사는 세갈래의 큰길이 있었고
그 길가에 주막들이 많이 있었다 하는데 동쪽 삼거리에는 동주막
거리가 있었다 하며 동주막리 또는 삼거리라고도 한다.
동주막리(東酒幕里)[마을] : 동주막 거리라고도 하며 노성천 동
쪽에 있는 마을이다.
마근동(麻近洞)[마을] : 술골 북쪽 산골짜기에 있는 마을인데 마
을을 산이 가리어 막은 것 같이 되어 있어 마근동이라 부르며 망
가리라고도 부른다.
망가리[마을] : 마근동이라고도 부르는데 술골 북쪽 산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다.
사거리[마을] : 서주막거리라고도 하는데 노성천 서쪽에 있는 마
을이다.
삼거리[마을] : 동주막거리라고도 하며 노성천 동쪽에 있는 마을
이다.
삼우대바위[바위] : 주곡리 동쪽 양산 계곡에 있는 바위로 옛날
3처사가 이곳에 정자를 짓고 수양을 했다고 한다.
서주막거리(西酒幕)[마을] : 노성천 서쪽에 있는 마을로 전에는
공주, 노성, 은진, 연산 방면으로 가는 네갈래 길이 있었고 주막
이 있었으며 서쪽 사거리에는 주막거리가 있었다. 서주막리 또
는 사거리라고도 부른다.
서주막리(西酒幕里)[마을] : 서주막거리 또는 사거리라고도 하는
데 노성천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술고개[고개] : 개티 또는 구치, 우치라고도 하는데 술골에서 소
울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술골[마을] : 주곡리를 말하며 옛날 큰 길가에 술집이 즐비하게
있었다고 한다.
술골방죽[못] : 술골에 있는 방죽으로 주곡제라고도 한다.
용적곡(龍積谷)[마을] : 용적골이라고도 하는데 술골 서쪽에 있
는 마을이다.
용적골[마을] : 술골 서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 이곳에는 절이 있
었는데 그 절에서 용이 올라갔다하며 용적곡이라고도 부른다.
우치(牛峙)[고개] : 개티 또는 구치, 술고개라고도 한다.
장승배기[길] : 술골 앞 장승이 서있는 길거리이다.
주곡(酒谷)[마을] : 주곡리를 말하며 옛날 길가에 주막이 많이
있었다고 한다.
주곡제(酒谷堤)[못] : 술골에 있는 방죽이다.
주막거리[마을] : 주곡리를 주막거리라고도 한다.
충헌사(忠憲祠)[사당] : 술골에 있으며 충헌공 양기, 양치, 양희
지, 양응춘, 양훤을 배향하고 있는 사당이다.

▶삼우대(三友臺) 바위

상월면 주곡리 동쪽 양산 계곡에 삼우대 바위라고 하는 바위가
있다. 옛날 풍류를 즐기며 사는 처사3인이 이곳에 정자를 짓고
시조를 읊으며 오랫동안 경치를 즐기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갑자기 뇌성병력이 일더니 삼처사는 간데온데 없
고 바위 한가운데서 맑은 물만이 솟아나고 있었다. 며칠 후 도
사 한분이 이 마을에 와서 삼처사에 대한 얘기를 듣고 정자쪽으
로 가더니 바위에「三友臺, 臺空水自流(삼우대, 대공수자류)」라
는 글을 새겨 놓고 가 버렸다.
그후부터 이 바위를 삼우대 바위라 부르고 바위틈에서 솟아오르
는 물은 약수라 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 곳을 찾는다.

▶주곡리 사지(寺址)

상월면 주곡리에 옛절터가 있다. 이 사지는 상월면과 연산면 경
계지점에 있는 탑산(塔山)의 서쪽 중턱 계곡 사이에 있다.
절터는 약 100여평의 대지가 조성되어 있는데 불적은 없고 기와
편이 발견되고 있을 뿐이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