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원북리(院北里) | ||||
---|---|---|---|---|---|
작성자 | 논산문화원 | 등록일 | 2002-05-09 | 조회 | 875 |
첨부 | |||||
수탕원(水湯院)의 북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원북(院北)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본래 석성군(石城郡) 원북면(院北面)의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부산리(缶山里), 장 상리(壯上里), 양상리(陽上里), 갈산리(葛山里), 음상리(陰上 里), 도리(島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원북리라 하고 논산군 성 동면에 편입하였다. 행정리는 원북1, 2, 3리로 되어 있으며, 246세대에 898명의 주 민이 거주하고 있다. (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갈산, 부산 리, 상하갈, 쇠죽골, 양상, 원북, 음상, 장뚝골, 재뜸 등이 있 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갈산(葛山)[마을] : 원북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새갈미라고도 부 른다. 고봉산(高峯山)[산] : 새갈미 앞에 있는 산인데 높이가 47m이 다. 산세가 수려하고 아름다워「고봉산」하면 호남지방풍류객 쳐 놓고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 였다고 하며 높은 댕이라고도 한다. 구방죽[못] : 새갈미 서북쪽에 있는 재뜸 옆에 있는 방죽으로 구 방축이라고도 한다. 구방축(舊防築)[못] : 구방죽이라고도 하는데 재뜸 앞에 있는 방 죽을 말한다. 군계교(郡界橋)[다리] : 논산군과 부여군 경계에 있는 다리인데 군계다리라고도 한다. 군계다리[다리] : 군계교라고도 하며 양지뜸 북쪽 석성천에 있 는 논산군과 부여군의 경계에 있다. 높은댕이[산] : 고봉산이라고도 하는데 새갈미 앞에 있으며 높이 가 47m로 산이 수려하고 아름답다. 뒷방죽[못] : 원북2리 뒤에 있던 방죽을 말한다. 막대밭머리[버덩] : 새갈미 남서쪽 끝에 있는 버덩이다. 면터[터] : 재뜸 한가운데에 있는데 옛날 원북면의 터라고 하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논산군 성동면에 편입되었고 원북 면터라고도 부른다. 부산리(缶山里)[마을] : 새갈미 남서쪽에 있는 마을로 장구매라 고도 한다. 사만구렁이[골] : 쇠죽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삼한 구렁이라고 도 한다. 삼한구렁이[골] : 사만구렁이라고도 하며 쇠죽골 남쪽에 있는 골 짜기이다. 상하갈(上下葛)[마을] : 갈미의 위아래 뜸을 상하갈이라고 하는 데 뜸에 산재되어 있는 마을을 통털어 지적하는 부락명이다. 새갈미[마을] : 원북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신갈산, 갈산이라고 도 부른다. 광석면에 갈산 또는 갈미라고 부르는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의 서쪽에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갈미라 부른다고 한다. 쇠죽골[마을] :군계다리 남서쪽에 있는 마을로 와우형(臥牛形) 의 명당자리가 있다고 한다. 수탕교(水湯橋)[다리] : 지창이 다리라고도 하는데 수탕원 앞에 큰 돌 두 개로 다리를 놓았었다고 한다. 수탕원터[터] : 원터라고도 하는데 쇠죽골 서쪽에 있으며 옛날 수탕원의 터이다. 옛날 이곳에 행인들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라 여 수탕원을 두었다고 한다. 수탕천교(水湯川橋)[다리] : 수탕교 또는 지창이 다리라고도 하 는데 옛날 수탕원 앞에 돌 두 개로 놓았었다고 한다. 승장이[골] : 새갈미 남서쪽 끝에 있는 막대밭머리 부근에 있는 골짜기이다. 신갈산(新葛山)[마을] : 새갈미라고도 하며 원북리에서 가장 큰 마을이다. 앞방죽[못] : 원북2이 앞에 있던 방죽을 말한다. 양상(陽上)[마을] : 음지뜸 북쪽 양지 바른곳에 마을이 있다하 여 양상 또는 양지뜸이라 부른다고 한다. 양상리(陽上里)[마을] : 양상 또는 양지뜸이라고도 부르며 음지 뜸 북쪽 양달쪽에 있는 마을이다. 양지뜸[마을] : 양상 또는 양상리라고도 부르는데 음지뜸 북쪽 양달쪽에 있는 마을이다. 양지 바른곳에 마으링 있다해서 양지뜸 이라 부른다 하는데 사람들도 활발하고 넉넉한 살림을 꾸려가 는 마을이라고 한다. 원병들[들] : 원북1리 서쪽에 있는 들을 원병들이라고 부른다. 원북(院北)[마을] : 수탕원의 북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원북 또는 원북리라 부른다고 한다. 원북면터[터] : 재뜸 한가운데로 옛날 석성군 원북면사무소가 있 었던 터라고 한다. 원앞[들] : 원더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원터[터] : 쇠죽골 서쪽에 있는 옛날 수탕원의 터로 수탕원이라 고도 하는데 행인의 편의를 위하여 이곳에 수탕원을 두었다고 한 다. 음상(陰上)[마을] : 새갈미 북쪽 음달쪽에 있는 마을로 음지뜸이 라고도 한다. 음상리(陰上里)[마을] : 음상 또는 음지뜸이라고도 하는데 새갈 미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음지뜸[마을] : 새갈미 북쪽 음달쪽에 있는 마을로 음상 또는 음 상리라고도 부른다. 마을 표면에 나타나지는 않으나 실속있는 생 활을 한다고 해서 음지뜸이라 부른다고도 한다. 장구매[마을] : 새갈미 남소쪽에 있는 마을로 뒷산의 모양이 마 치 장구와 같이 생겼다 하여 장구매 또는 부산리라고도 부른다. 장뚝골[마을] : 양지뜸 서쪽에 있는 마을로 장상리라고도 한다. 마을 앞에 장군석(將軍石) 무인석(武人石)이 있다. 장상리(壯上里)[마을] : 장뚝골 이라고도 하며 양지뜸 서쪽에 있 는 마을이다. 장용암[사찰] : 원북리에 있는 작은 암자이다. 재뜸[마을] : 새갈미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조그마한 고개에 마 을이 있다하여 재뜸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며 옛날 원북면사무 소의 부지가 이곳에 있었다고한다. 주창산 : 장뚝골 뒤에 있는 산을 주창산이라고 부른다. 증상골[골] : 새갈미 앞 너머에 있는 골짜기이다. 지창이다리[다리] : 수탕원 앞에 넓이 3척, 길이 14척 가량의 긴 동두개로 놓았던 다리로 수탕교 또는 수탕천교라고도 부른다. 찰밥논[논] : 구방죽 위에 있는 논으로 12마지기가 되는데 논이 매우 기름져서 멥쌀이라도 찹쌀과 같이 차지고 기름지다 하여 찰 밥논 또는 찰방논이라 부른다고 한다. 찰방논[논] : 찰밥논이라고도 하는데 구방죽 위에 있는 논이다. 토깽이골[골] : 새갈미 뒤에 있는 골짜기이다. 효죽골(孝竹)[마을] : 논산군과 부여군 군계에 위치하고 있는 원 북3리를 효죽골이라고 한다. ▶한이 서린 사만 구렁이 성동면 원북 3리에 사만 구렁이라고 하는 굴이 있다. 옛날 북쪽의 오랑캐들이 우리나라에 쳐들어와 물건들을 약탈하 고 사람을 죽이는 등 만행을 일삼고 있었다. 이 무렵 이곳 원북 마을 사람들도 오랑캐들을 피신하여 이곳의 굴속에 숨어 있었 다. 마을 사람들이 피신한후 오랑캐들이 이마을에 쳐들어와 사람 이 없는 것을 알고 이곳 저곳 찾기 시작하였다. 마을 사람들은 초조와 공포속에서 떨고만 있어야 했다. 어느날 오랑캐들은 굴속에 숨어 있는 마을 사람들을 발견하고 마구 죽이기 시작하였다. 그후 굴속에서 죽은 사람들은 한이 맺혀 모두 구렁이로 변했다 고 하는데 그 수가 4만에 이르렀다고 한다. 그래서 이굴을 지금 도 사만구렁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