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반암리(半岩里) 게시판 상세보기

[논산문화원] - 지명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반암리(半岩里)
작성자 논산문화원 등록일 2002-05-21 조회 805
첨부  
 
전라북도 전주군 양량소면(陽良所面)의 지역이었는데 마을에 반
바우 또는 반암(半岩)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
라 물한리(勿汗里), 제비리(諸非里), 도정리(道井里)의 각일부
와 연산군 모촌면(茅村面)의 남산리 일부를 병합하여 반암리라
하고 논산군 양촌면에 편입하였다.
행정구역은 반암 1, 2리로 되어 있으며, 인구는 102세대에 361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물한
이, 샘골, 제비울, 욧골, 반바우 등이 있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물한리(勿汗里)[마을] : 욧골 북쪽에 있는 마을인데 물한이라고
도 한다.
물한이[마을] : 욧골 북쪽에 있는 작은 마을로 물한티란 고개아
래에 있는 마을이라하여 물한이 또는 물한리라고 부른다.
물한산[산] : 양촌면 반암리와 벌곡면 덕곡리 경계에 있는 산인
데 높이가 363m이다.
물한재[고개] : 물한이에서 벌곡면 덕곡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물
한티라고도 한다.
물한티[고개] : 물한재라고도 하는데 물한이에서 벌곡면 덕곡리
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반바우[바위] : 반암 마을 뒤에 있는 바위인데 바위가 반은 땅
에 묻혀있고, 반은 뒤에 솟아 있다해서 반암 또는 반바위라 부
른다. 반암은 인명을 보호하는 바위라고 전해 내려온다.
반암(半岩)[마을] : 반암리를 말하며 마을 뒤에 반바위가 있어
반암이라 하였다.
반암(半岩)[바위] : 반바우라고도 하며 반암 마을 뒤에 있는 바
위이다.
샘골[마을] : 제비울 옆에 있는 마을로 천동이라고도 한다. 옛
날 이마을엔 샘이 하나 밖에 없어서 다시 파고자 했으나 이 마을
엔 샘을 하나이상 더 파면 샘물에 배를 띠워야 한다는 풍수설이
있어 파지 못했다고 한다. 그래서 이 마을은 샘이 귀하다하여 샘
골 또는 천동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승적골[골] : 욧골 뒤에 있는 골짜기인데 옛날에 절이 있었다고
한다.
연동(燕洞)[마을] : 반바우 서쪽에 있는 마을로 제비울이라고도
한다.
요동(堯洞)[마을] : 욧골이라고도 하며 반바우 동북쪽에 있는 마
을이다.
욧골[마을] : 반바우 동북쪽에 있는 마을로 요동이라고도 한다.
이 마을은 큰 산이 둘러싼 아늑한 곳에 위치한 마을로 임진왜란
때 피난온 사람들로 큰 부락을 이루었다하며 중국 요동처럼 피난
골 이라하여 요동 또는 욧골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작은물한재[고개] : 욧골에서 벌곡면 영은사로 넘어가는 고개로
물한산의 작은 고개이다.
제비리(諸非里)[마을] : 제비울 또는 연동이라고도 한다.
제비울[마을] : 반바위 서쪽에 있는 마을로 마을이 제비의 형이
라 한다.
천동(泉洞)[마을] : 샘골이라고도 하며 제비울 옆에 있는 마을이
다.

▶반암리의 인수(仁水)와 느티나무

양촌면 반암리 제비울에는 300여년은 묵은 큰 느티나무가 있
다. 옛날 이 느티나무가 서 있는 자리에 우물이 하나 있었는데
물이 깨끗하고 맑아 들여다 보면 보는 이의 모습이 거울처럼 환
히 비쳤다. 그러나 신비하게도 죄를 지은 사람 모습은 비치지 않
아 사람들을 어질고 착하게 만들어 주는 우물이라 하여 인수(仁
水)라고 불렀다고 한다.
옛날 이 마을에 지체 높은 양반집이 있었는데 그 집에는 과거
공부를 하는 도령이 있었다. 어느날이었다. 양반댁 도령이 길에
서 물동이를 이고 오는 농부의 딸과 마주쳤다. 그는 한눈에 반
해 그 처녀와 자주 만나게 되었고 결혼까지 약속하게 되었다. 이
러한 사실을 눈치챈 양반 어른은 다른 규수와 혼담을 서두르기
시작했다. 드디어 도령의 혼례식이 닥쳐왔다. 이소식을 들은 처
녀는 하늘이 무너져 내리는 것만 같았다. 그래서 농부의 딸은 머
리를 풀고 우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그처녀가 물에 빠져 죽었다는 소리를 들은 양반 어른은 인부들
을 시켜 그 좋은 우물을 매워 버렸다. 그후 우물자리에는 한그루
의 느티나무가 자라났고, 혼례를 치룬 도령은 한양에서 살다가
과거에 실패하고 고향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그가 내려 오던날
느티나무 가지에 구렁이 한 마리가 나타나 혀를 날름거리고 있었
다. 사람들로부터 그 구렁이는 농부의 딸의 혼일것이라는 말을
듣고 쫓기듯이 한양으로 다시 올라갔고, 구렁이는 날이 궂을 때
마다 나타났다고 한다.

▶반암리 요동 분청사기 요지(窯址 : 가마터)

양촌면 반암리 요동부락 입구의 북서쪽으로 형성된 계곡 중간지
점에 조선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분청사기 요지가 있다.
이 요지는 현재 밭으로 경작라고 있는데 이곳에 불에 끄슬른 흙
이 많이 나오고 사기편이 산포되어 있어 요지로 추정되고 있다.
이곳에서 발견되는 자기는 주로 분청사기로 접시와 사발이 주류
를 이루고 있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