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인천리(仁川里) | ||||
---|---|---|---|---|---|
작성자 | 논산문화원 | 등록일 | 2002-05-21 | 조회 | 843 |
첨부 | |||||
전라북도 전주군(全州郡) 양량소면(陽良所面)의 지역이었는데
인내의 이름을 따라 인내 또는 인천(仁川)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월장리(越場里), 본장리(本場里), 동산리 (東山里), 도정리(道井里), 하광리(下光里)의 각 일부와 연산군 모촌면의 남산리(南山里) 일부를 병합하여 인천리라 하고 논산 군 양촌면에 편입되었다. 행정구역은 인천 1, 2, 3리로 되어 오다가 1992년도에 1개 행정 리가 증편 4개 행정리로 되어 있으며 인구는 206세대에 1,134명 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건너장 터(월장리), 도정골, 동산리, 은정자, 인내장터(본장리, 인내 장) 등이 있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강진김씨 효열비(康津金氏 孝烈碑)[비] : 강진김씨의 2효(二孝) 와 1열(一烈)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지로 건너장터에 있다. 건너장터[마을] : 인내장터 동쪽 내 건너에 있는 장터마을이며, 월장리라고도 한다. 도정골(道亭)[마을] : 동산리 남쪽에 있는 마을인데 옛날 이 마 을에 살던 부호김씨가 지나가던 행인들이 쉬어가도록 정자를 지 어주어 행인들의 휴식처가 되었다. 길옆에 정자가 있는 마을이 라 하여 도정골 또는 도정리라고 부른다 한다. 도정리(道亭里)[마을] : 도정골이라고도 한다. 동산(東山)[산] : 건너장터 큰 산이 있는데 이 산을 동산이라고 부른다. 동산들[들] : 동산리 앞에 있는 넓은 들이다. 동산리(東山里)[마을] : 동산 아래에 있는 큰 마을인데 동산 이 름을 따서 동산리라 부르며 마을 뒤에는 높은 산이 있고 앞에는 넓은 들이 있어 경치가 좋은 마을이다. 본장리(本場里)[마을] : 인내장 또는 인내장터라고도 하는데 대 추가 많은 마을이다. 월장리(越場里)[마을] : 인내장터 동쪽내 건너에 있는 마을로 건 너 장터라고도한다. 은정자(銀亭子)[마을] : 도정리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인내[마을] : 인천리를 말한다. 인내뚝[제방] : 인내의 긴 제방으로 1940년에 쌓았으며 인천제방 이라고도 한다. 인내장[마을] : 인내장터에 있는 마을이다. 인내장[장] : 인천을 중심으로 양쪽에 장이 섰는데 양촌면사무소 가 있는 쪽에 선 장을 인내장이라 하고 동쪽내 건너에는 건너장 이 있다. 장이 선날은 2일과 7일, 5일장이 섰으며 대추가 많이 거래되던 장이다. 인내장터[마을] : 양촌 면사무소가 있는 마을인데 본장리, 인내 장이라고도 한다. 인천(仁川)[마을] : 인천리를 말한다. 인천장(仁川場)[장] : 인내 양쪽에 5일장이 섰다. 인천제방(仁川堤防)[뚝} : 인내뚝을 말한다. ▶인천리 갓점 사지(寺址) 양촌면 인천리 갓점에 옛 절터가 있다. 인천리의 개천쪽으로 약 2km쯤 가다보면 서북쪽으로 형성된 계곡 끝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는 건물 대지만 약 200여평이 황폐화된채 남아있고, 조선시 대 것으로 보이는 기와편이 발견되고 있다. 대지의 규모로 보아 조그마한 암자형의 불사였던 것 같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