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중산리(中山里) 게시판 상세보기

[논산문화원] - 지명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중산리(中山里)
작성자 논산문화원 등록일 2002-05-21 조회 1004
첨부  
 
은진군 상두면(上豆面)의 지역으로 중산(中山) 밑에 있다하여
중산, 중재 또는 중티(中峙)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우항리(牛項里), 동구리(洞口里) 일부를 병합하여 중산리
라 하고 논산군 가야곡면에 편입하였다가 1983년2월15일 가야곡
면의 양촌리 일부(노촌, 동구리마을)와 함께 양촌면 중산리로 편
입되었으며 고려때의 사찰인 쌍계사가 있다.

행정구역은 중산 1, 2, 3리로 되어 있으며, 인구는 163세대에
64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사
라니, 쇠목, 절골, 동구리, 노촌 등이 있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갈내[마을] : 노촌이라고도 하며 동구리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강병흠, 평택임씨정려[정려] : 중산리 산99번지에 있는 효자 강
병흠은 부친이 세상을 떠나자 시묘살이를 하면서 옷자락에 돌을
담고 다니며 고행을 하여 포석효자(抱石孝子)라고도 하였으며,
그의 부인 평택임씨는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자결 남편의 뒤를
따랐다.
까치재[고개] : 우항리에서 전북 완주군 화산면 까치말로 넘어가
는 높은 고개로 옛날에는 도적들이 진을 치고 있었다하며 6.25때
는 공비들이 은거하였다고 한다.
깃대봉[산] : 황산 서쪽에 있는 산으로 높이가 119m로 토지측량
표준기가 있다.
노천[마을] : 노촌이라고도 하며 동구리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노촌(盧村)[마을] : 동구리 북쪽에 있는 마을인데 300여년전에
백씨들이 갈대밭을 개척하여 마을을 이룩했다하여 노촌이라 부른
다 하며 냇물이 흘러 갈내 또는 노천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가야곡면 양촌리에 속하였는데 1983년2월15일 가야곡 중산
리가 양촌면으로 현입될 때 중산리에 편입 양촌면 중산리에 속하
게 되었다.
피재[고개] : 우항리에서 전북 완주군 운주면 승티리로 넘어가
는 고개로 승티라고도 한다.
동구리(洞口里)[마을] : 노촌 남쪽에 있는 마을로 쌍계사로 들어
가는 동구가 되므로 동구리라 하였다. 가야곡면 양촌리에 속하였
는데 1983년2월15일 가야곡면 중산리가 양촌면으로 편입할 때 노
촌마을과 함께 중산리에 딸리어 양촌면 중산리에 편입되었다.
백암사(白岩寺)[절] : 지금의 쌍계사를 옛날에 백암사라고 하였
다.
사곡(寺谷)[마을] : 절골이라고도 하는데 중산 동남쪽에 있는 마
을이다.
사라니[마을] : 중산 남서쪽에 있는 마을인데 중산의 안쪽이 되
므로 산안이라 부르다가 변하여 사라니 또는 산내리라고도 부른
다.
산내리(山內里)[마을] : 사라니라고도 하며 중산 남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산안[마을] : 사리니라고도 하며 중산의 안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산안이라 부른다.
쇠묵[마을] : 사라니 남동쪽에 있는 마을인데 마을의 뒷산 형태
가 마치 소의 목같이 생겼다하여 쇠목 또는 우항리라고도 부른
다.
승티(升峙)[고개] : 피재라고도 하는데 우항리에서 운주면 승티
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쌍계사(雙溪寺)[절] : 중산리 절골 불명산 아래에 있는 절로 백
암사라고도 하였으며 고려 충숙왕때 행촌 이암이 창건라고 목은
이 기(記)를 지었다. 영조때 중수하였고 대웅전의 문은 꽃무늬
를 새기었으며, 1964년9월 보물 제408호로 지정되었다.
쌍계사부도(雙溪寺浮屠)[부도] : 중산리 13번지 쌍계사 입구에
부도가 있다. 모두 9기가 있다.
쌍계사중건비(雙溪寺重建碑)[비] : 쌍계사에 중건비가 있다. 자
연석 기단위에 장방형의 비신이 있으며 정상에 가첨석이 올려져
있다. 비신에는「쌍계사 중건비명(雙溪寺 重建碑銘)」이라 전각
(篆刻)되어 있고 김락중이 찬(撰)하고, 이화중이 글씨를 썼으며
김락조가 전(篆)을 하였다. 이 중건비는 1739년(조선영조 15년)
에 세웠다.
우항(牛項)[마을] : 쇠목이라고도 하는데 사라니 남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우항리(牛項里)[마을] : 쇠목 또는 우항이라고도 한다.
작티(鵲峙)[고개] : 까치재라고도 하는데 우항리에서 운주면 승
티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절골[마을] : 중산 남동쪽에 있는 마을로 쌍계사 입구에 있다.
현재는 30여호 밖에 없으나 쌍계사의 전성기 고려때에는 여기를
찾아드는 신도들이 자리잡고 살아 큰 부락이었다고 한다.
절이 있는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절골 또는 사곡이라 부
른다고 한다.
중산(中山)[마을] : 중산리를 말한다.
중재[마을] : 중산리를 중재라고도 한다.
중티(中峙)[마을] : 중산리를 중티라고도 한다.
해주오씨열녀비(海州吳氏烈女碑)[비] : 오씨부인은 남편 강영원
이 화를 당하여 비명에 죽자 단식하여 순절하여 강씨 문중에서
1952년경에 중산리에 열녀비를 세웠다.

▶쌍계사와 하마비(下馬碑)

양촌면 중산리에 자리잡고 있는 쌍계사자리는 하늘의 상제(上
帝)가 자리잡아 주었다고 전한다. 옛날 상제의 아들이 이땅에 내
려와 진귀한 나무들을 선택하여 절을 지었다고 한다.

고려말엽, 나라에는 큰 화가 일어나 도망다니는 사람들이 쌍계
사에 숨어 들어왔다. 이 소문을 들은 군사들이 쌍계사로 오고 있
었다. 그때 주지스님의 그들 앞에 나가 불경을 외우니 군사들이
타고 왔던 말들이 앞다리를 번쩍들며 기성을 지르면서 그 자리
에 쓰러지는 것이었다. 그리고 말을 몰던 군사들도 말에서 떨어
져 죽고 말았다.

그래서 쌍계사에 숨어 있던 사람들은 화를 면하게 되었고, 그
후 말이 쓰러진 곳에 하마비를 세워 말에서 내려 절간으로 걸어
서 가게 했다고 한다.

▶중산리의 장군 할아버지와 바위

양촌면 중산2리 새목 마을 입구에서 세 그루의 느티나무가 있는
데 그 밑에 넓은 바위가 있다.

옛날 이 마을엔 힘이 장사인 유씨라는 분이 살고 있었다. 어느
날 그는 느티나무 정자 아래에서 노인들이 맨바닥에서 누워 있
는 것을 보고 중고개를 넘어 성삼문의 묘소가 있는 골짜기에 놓
여 있던 바위를 혼자서 마을 입구 느티나무 정자 아래에 갖다 놓
았다고 한다. 그래서 이 마을 사람들은 이 할아버지를 장군 할아
버지라 부른다고 한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