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안심리(安心里) | ||||
---|---|---|---|---|---|
작성자 | 논산문화원 | 등록일 | 2002-05-21 | 조회 | 1204 |
첨부 | |||||
전라북도 여산군(礪山郡) 피제면(皮堤面)의 지역으로 사람이 안
심하고 살 수 있는 고장이라 하여 안심리 또는 안심동이라 하였 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구상리(九相里), 삼거리(三巨 里), 신리(新里), 죽산리(竹山里), 사천리(沙川里), 신기리(新基 里), 신화리(莘花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안심리라 하고 전라 북도 익산군(益山郡) 황화면(皇華面)에 편입되엇다가 1963년1월1 일 연무읍이 승격됨에 따라 논산군 연무읍에 편입되었다. 행정구역은 안심1, 2, 3, 4, 5, 6, 7, 8리로 되어 있으며, 인구 는 1,685세대에 5,749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1993.12.31 현 재) 자연부락은 구상동, 까치마루, 대메, 모래내, 소안심, 차돌 배기, 안심리, 작은안심동, 원안심 등이 있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가마논[논] : 사랑골에 있는 논으로 모습이 마치 가마와 같다고 한다. 구상동(九相洞)[마을] : 안심리 북쪽에 있는 마을로 팔판동이라 고도 한다. 이곳에서 아홉 사람의 정승과 여덟사람의 판서가 나 올 수 있는 음택지지(陰宅之地)가 있다하여 구상동이라 부른다 한다. 까치마루[마을] : 안신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세갈래의 길이 있 어서 삼거리라고도 부르는데 지금은 사거리가 되었고 마을이 산 마루에 있다하여 까치마루 또는 까치말, 작지, 작촌이라고도 부 른다. 까치말[마을] : 까치마루 또는 삼거리라고도 하는데 안심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에는 7월 보름날 백중날에는 이 부근의 충청 도와 전라북도 사람들의 모여서 손치기(手搏戲)로 승부를 겨루기 도 했다고 한다. 대메[마을] : 안심 남서쪽에 있는 마을로 대나무가 많이 있는 마 을이라 하여 대메 또는 죽산이라고도 부른다. 도곡(道谷)[마을] : 구상동 북쪽에 있는 마을로 모래네 또는 사 곡이라고도 부른다. 뒷고라실[들] : 안심리 뒤에 있는 들을 말한다. 모래내[마을] : 구상동 북쪽에 있는 마을로 사천 또는 도곡이라 고도 부른다. 이 마을은 연무, 채운, 은진, 세 읍면의 어름이 될 곳이라고도 한다. 무시기들[들] : 대매 앞에 있는 들이다. 사랑골[골] : 신화1리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사천(沙川)[마을] : 모래내라고도 하며 구상동 북쪽에 있는 마을 이다. 마을 앞에 큰내와 모래밭이 있다. 마을 뒷산에 수백년된 소나무와 느티나무가 있는데 이조초기 태조가 등극할 때 은진땅 여기에도 나무를 식수하였다고 한다. 삼거리[마을] : 안신 동쪽에 있는 큰 마을이다. 옛날에는 세갈래 의 길이 있어서 삼거리라 하였는데 지금은 네갈래 길이 되었다. 마을이 산마루에 있다하여 까치마루 또는 까치말이라고도 부르 며 작지, 작촌이라고도 부른다. 성황당[당] : 사랑골에 큰 소나무가 서 있던 성황당이 있었다. 옛날 강경에서 마산, 운주로 가던 큰 길가 였다. 소안심(小安心)[마을] : 작은 안심동이라고도 부르는데 안심 남 쪽에 있는 마을로 육군 제2훈련소로 인하여 갑자기 새로 큰 마을 이 되었다 하여 신흥동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신흥동(新興洞)[마을] : 차돌배기라고도 부르는데 삼거리 남쪽 에 있는 마을로 육군 제2훈련소로 인하여 갑자기 새로 큰 마을 이 되었다 하여 신흥동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아구배방죽[못] : 삼거리 서쪽에 있는 방죽을 말한다. 안심들[들] : 앞고라실이라고도 하는데 안심 앞에 있는 들로 땅 이 매우 비옥하고 물이 좋다. 안심리(安心里)[마을] : 안심동이라고도 하며 사람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고장으로 출세하려면은 얼마든지 정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고장이라고 한다. 안심방죽[못] : 안심제라고도 하는데 안심동 서남쪽에 있는 방죽 으로 수백년 전부터 있었던 것인데 1957년에 더 확장을 했다고 한다. 안심제(安心堤)[못] : 안심방죽이라고도 하며 안심동 서남쪽에 있는 방죽이다. 앞고라실[들] : 안심 앞에 있는 들로 안심들이라고도 한다. 땅 이 매우 비옥하고 물이 좋기로는 첫째 두여(斗餘)이고, 둘째 안 심(安心)들이라고 할 정도이다. 양샘골[골] : 차돌배기 아래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인데 큰 샘이 둘이 있어서 양샘골이라 하였다 하며 이샘은 육군 제2훈련소에 서 쓰고 있다. 역전(驛前)[마을] : 작은 안심동 또는 소안심이라고도 하는데 연 무대선의 기차 정거장 앞에 있는 마을이다. 연무역(鍊武驛)[역] : 작은 안심동 옆에 있는 연무대선의 기차역 으로 1959년에 설치되었다. 옷샘[우물] : 사랑골에 있던 샘으로 옷오른 사람이 이물로 씻고 깨끗이 낳았다고 한다. 원안심(元安心)[마을] : 안심리의 원래의 마을이다. 유세배미[논] : 안심 앞에 있는 앞고라실에 있는 논으로 물이 잘 나온다. 은배미[논] : 사랑골에 있는 논이다. 작은 안심동[마을] : 연무역 앞에 있으며 안심 남쪽 옆에 있는 작은 마을로 소안심 또는 역전이라고도 부른다. 작지(鵲旨)[마을] : 삼거리라고도 하며 안심 동쪽에 있는 큰 마 을이다. 작촌(鵲村)[마을] : 삼거리 또는 까치마루라고도 하며 안심 동 쪽 산마루에 있는 마을이다. 죽산(竹山)[마을] : 대메라고도 하는데 안심 남서쪽에 있는 마을 로 대나무가 많다. 좌상편[들] : 대메 우측에 있는 들이다. 차돌배기[마을] : 산거리 남쪽에 있는 마을로 차돌이 많이 박혀 있다. 육군 제2훈련소로 인하여 갑자기 새로 된 마을이라 하여 신흥동이라고도 부른다. 팔판동(八判洞)[마을] : 구상동이라고도 하는데 안심리 북쪽에 있는 마을로 이 마을에서 아홉정승과 여덟판서가 난다고 한다. ▶까치떼들이 서식한 까치말(鵲村) 옛날 이 마을에 사냥꾼 한 사람이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산 속 으로 사냥을 나갔다가 큰 호랑이 한 마리와 마주쳤다. 그는 활 을 쏘아 호랑이의 다리를 부러뜨리고 간신히 집으로 도망쳐 왔 다. 그 날밤 호랑이 한 마리가 사냥꾼의 집 주위를 으르렁대며 돌고 있었다. 그 호랑이도 활시위를 당겨 두 다리를 부러뜨렸다. 그 이튼 날 아침 밖에 나가보니 까치 한 마리가 다리가 부러진 채 둥글고 있었다. 그는 약을 바르고 붕대를 감아주고 그 날도 사냥을 나갔다. 그런데 바위 밑에서 호랑이 새끼들이 까치집을 떼어다 놓고 까치 새끼 다리를 물어뜯고 있었다. 그는 까치 새끼 들을 가지고 막 돌아서려고 하는데 호랑이 두 마리가 다리를 절 룩거리며 덤벼들려고 했다. 간신히 호랑이를 피하여 돌아온 사냥 꾼은 까치 새끼를 치료해 주고 자기 집 앞에 까치집을 만들어 나 무에 만들어 주었다. 그 후부터 이 마을에는 까치들이 떼로 모 여 살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 마을에는 까치들이 많이 서식하는 마을이라 하여 까치말 또는 작촌이라 부르게 되었 다고 한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