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죽본리(竹本里) | ||||
---|---|---|---|---|---|
작성자 | 논산문화원 | 등록일 | 2002-06-03 | 조회 | 1166 |
첨부 | |||||
은진군 죽본면(竹本面)의 지역으로 대밑 또는 죽본이라고도 하
는데 마을 앞에 방죽을 새로 만들었다하여 신방리라고도 한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구방리(舊防里), 서재리(書齋里) 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논산군 구자곡면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1 월1일 연무읍이 승격됨에 따라 논산군 연무읍에 편입되었다. 행정구역은 죽본1, 2리로 되어 있으며 인구는 150세대에 546명 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방죽 말, 서당골, 신방리, 죽본, 황사리 등이 있다. ▶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구방리(舊防里)[마을] : 방죽말이라고도 하는데 대밀 남쪽 등너 머에 있는 마을이다. 구방죽[못] : 방죽말에 있는 방죽으로 마을 북쪽 등너머에 새로 방죽을 판 후부터 구방죽이라 부르며 구방죽이라고도 부른다. 구방죽[마을] : 구방죽 아래에 있는 마을을 구방죽이라고도 부른 다. 구방축(舊防築)[못] : 구방죽이라고도 하며 방죽말이 있는 못이 다. 넓은들[들] : 대밑 뒤에 있는 들이다. 대밑[마을] : 죽본동이라고도 하는데 옛날 이마을은 큰강으로 형 성괴어 있었다고 하는데 어느해 천둥번개와 함께 큰 비가 내리 고 바람이 불더니 대나무를 실은 배가 이마을 까지 떠내려와 강 변에 걸치더니 흙이 쌓여 육지로 변하였다고 한다. 그 후 대나무 가 싹이트기 시작하여 무성하게 자랐고 대나무 질이 좋아 전국 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하며 대나무가 뿌리를 내린 고장이라 하 여 대밑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대밑보[보] : 대밑 앞에 있는 보로 죽본보라고도 한다. 매봉산[산] : 죽본1리 대밑 뒤에 있는 산인데 옛날 배를 매었다 하여 매봉산 또는 배막산이라고도 부른다. 면터(面)[터] : 대밑에 있는 터로 옛날 죽본면사무소와 구자곡 면사무소가 있었던 터라고 한다. 방죽말[마을] : 대밑 남쪽 등너머에 있는 마을로 구방죽이 있어 서 방죽말 또는 방축리, 구방리라고도 부른다. 방죽보[보] : 방죽말 앞에 있는 보로 방축보라고도 한다. 방축리[마을] : 방죽말이라고도 하며 대밑 남쪽 등너머에 있는 마을이다. 방축보(防築洑)[보] : 방죽보라고도 하며 방죽말 앞에 있는 보이 다. 배막산[산] : 대밑 뒷산으로 매봉산이라고도 부르는데 옛날 배 를 매어 놓았던 산이라 하여 배막산이라 부른다고 한다. 새방죽[못] : 방죽말 북쪽 등너머 밑에 새로판 방죽이라 하여 새 방죽이라 하고 방죽말에는 예부터 있었던 방죽이 있는데 이를 구 방죽이라 부른다. 새방죽을 신방축이라고도 한다. 서당골(書堂)[마을] : 방죽말 동쪽에 있는 마을로 서재동이라고 도 부른다. 옛날 이마을에는 서당이 있었다고 하는데 여기 서당 에서 공부를 한사람들은 지조가 대나무 같이 곧다하여 강직하기 로 소문이 났다고 한다. 서재동(書齋洞)[마을] : 서당골이라고도 하며 방죽말 동쪽에 있 는 마을이다. 수랑골[골] : 배막산 아래에 있는 골짜기이다. 신방리(新防里)[마을] : 죽본동 또는 죽본리라고도 한다. 신방축(新防築)[못] : 새방죽이라고도 하는데 방죽말 북쪽 등너 머 밑에 새로된 방죽이다. 욧골[골] : 대밑 뒤에 있는 골짜기 죽본(竹本)[마을] : 죽본동 또는 죽본리라고도 한다. 죽본보(竹本洑)[보] : 대밑보라고도 하는데 대밑 서쪽에 있는 마 을이다. 황사리(黃沙里)[마을] : 황사터라고도 하는데 대밑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황사터[마을] : 대밑 서쪽에 있는 마을로 황사리라고도 한다. 옛 날 이마을에 돈이 많은 큰 부자가 살고 있었는데 돌로 높은 담 을 쌓은 후부터 망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 터는 황새의 혈로 앞 을 가로막아 망하게 되었다고 한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