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사포리(沙浦里) | ||||
---|---|---|---|---|---|
작성자 | 논산문화원 | 등록일 | 2002-06-03 | 조회 | 1136 |
첨부 | |||||
살포제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살포재 또는 사포라 하였
다. 본래 연기군 백석면(白石面)의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 역 폐합에 따라 귀암리(貴岩里), 신정리(新井里), 송산리(松山 里), 신소리(新巢利), 평촌(坪村), 구정리(九井里)의 각일부와 외성면(外城面)의 소원리(巢院里), 개정리(蓋井里)와 노성군 하 도면(下道面)의 숙진동(淑眞洞) 일부를 병합하여 논산군 연산면 에 편입하였다. 행정구역은 사포1리로 되어 있으며, 인구는 67세대에 237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망골, 사 포, 소반챙이 등이 있다. ▶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감투봉[산] : 살포산이라고도 하며 사포재 뒤에 있는산이다. 거북바우[바위] : 귀암산에 있는 바위로 형태가 마치 거북처럼 생겼다고 한다. 구정배리[마을] : 사포리 입구에 있는 마을로 어은리와 경계에 있다. 귀신둠벙[못] : 사포리에 있는 둠벙으로 여기에 빠져 죽은 청춘 남녀의 맺지못한 사랑의 애절한 전설이 깃들여 있다. 귀암(貴岩)[마을] : 망골이라고도 하며 살포재 서남쪽에 있는 마 을이다. 귀암산(貴岩山)[산] : 망골 서남쪽에 있는 산으로 높이가 55m이 며 거북바위가 있다. 깃대봉[산] : 시루봉 왼편에 있는 산으로 취산과 시루봉 사이에 있다. 막은골[마을] : 살포재 서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막은골[골] : 귀암산에서 막은골 마을에 이르는 골짜기이다. 망골[마을] : 살포재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막은골 이라고도 한 다. 귀암산이 있어서 귀암이라고도 부른다. 망녕골[골] : 깃대봉과 쥐산 사이에 있는 골짜기이다. 박우물[샘] : 소반챙이에 있는 샘으로 물이 차고 많아서 바가지 로 물을 뜰 수 있어서 박우물이라 부른다. 사포(沙浦)[마을] : 살포재라고도 하며 살포산 아래에 있는 마을 이다. 산명이[산] : 사포리 동쪽에 있는 산으로 어은리와 두마면 도곡 리에 걸쳐있는 산이며 큰산명이와 작은 산명이가 있다. 살포산[산] : 살포재 뒤에 있는 산으로 높이가 182m이며, 모양 이 마치 살포와 같이 생겼다 한다. 살포재[마을] : 살포산 앞에 있는 마을이다. 살포재[산] : 살포산이라고도 하며 높이가 182m이다. 살포재[고개] : 사포에서 상월면 한천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소반챙이[마을] : 망골 남서쪽에 있는 마을로 신정이라고도 한 다. 지형이 마치 소반과 같이 생겼다고 하여 소반챙이라 부른다. 솔미고개[고개] : 소반챙이에서 송산리 솔미로 넘어가는 고개이 다. 시루봉[산] : 사포리 남동쪽 끝에 있는 산으로 형태가 마치 떡시 루처럼 생겼다고 한다. 신정(新井)[마을] : 소반챙이라고도 하며 망골 남서쪽에 있는 마 을이다. 역적날[골] : 시루봉과 깃대봉 사이에 있는 골짜기이다. 왕덕들[들] : 소반챙이 앞에 있는 들이다. 왕덕천[내] : 북쪽 어은리에서 흘러내려 남쪽 송산리로 흘러내리 는 내이다. 용두산[산] : 사포리 서쪽에 있는 작은 산으로 효자문산이라고 도 한다. 이능골저수지[못] : 일음골에 있는 적수지로 이름골 저수지라고 도 한다. 정골[골] : 쥐산과 바르재 사이에 있는 골짜기이다. 주막거리[거리] : 구정배리 앞에 있는 길거리로 옛날 주막이 있 었다고 한다. 쥐산[산] : 깃대봉과 바르재 사이에 있는 산이다. 턱골[샘] : 바르재와 감두봉 사이에 있는 골짜기이다. 표정[샘] : 박우물이라고도 하며 소반챙이에 있는 샘이다. 효자문[산] : 서포리 서쪽에 있는 작은 산이다. 효자문들[들] : 살포재 앞에 있는 들이다. ▶ 귀신 둠벙 옛날 이마을에 권세가 있고 부자인 한 사람이 살고 있었다. 그 는 자기의 딸이 자기 집에 살고 있는 종과 좋아 지내는 것을 알 고 두사람을 마을에 있는 둠벙에 빠뜨려 죽이고 말았다. 그후부 터 마을에 경사가 있을때마다 노란빛의 구렁이가 나타나 소리내 어 울면서 눈물을 흘리곤 하였다. 마을사람들은 이승에서 이루지 못한 두 혼령이 원혼이 되어 나 타난 것이라 하며 그들이 죽은 연못을「귀신둠벙」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