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송정리(松亭里)-1 게시판 상세보기

[논산문화원] - 지명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송정리(松亭里)-1
작성자 논산문화원 등록일 2002-06-03 조회 1037
첨부  
 
연산군 식한면(食汗面)의 지역이었는데 소나무 정자가 있는 마
을이라 하여 소정이 또는 송정(松亭)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
역 폐합에 따라 중개태리(中開泰里), 한림정리(翰林亭里), 산노
리(山老里), 북계리(北溪里), 상송리(上松里), 하송리(下松里),
호동(虎洞), 천호리(天護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송정리라 하
고 논산군 연산면에 편입하였다.

행정구역은 송정1, 2리로 되어있으며, 인구는 157세대에 454명
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대소
말, 매누리, 범골, 북계, 산노리, 위소정이, 아래소정이, 중개
태, 한림정 등이 있다. 송정리에는 한학을 익히며 살아가고 있
는 한학 마을이 있다.

▶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개태곡(開泰谷)[마을] : 개태골이라고도 하며 연산 구읍에서 천
호리 개태사까지의 계곡에 있는 마을이다.
개태골[마을] : 연산 구읍(舊邑)에서 천호리 개태사 까지의 계곡
에 있는 마을로 백제때부터 선인(仙人)골로 부르던 계곡으로 황
산원(黃山原)의 근원을 이루며 개태곡(開泰谷)이라고도 부른다.
군장곡[골] : 군장골이라고도 하며 시장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
다.
군장골(郡葬)[골] : 시장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그 언덕에「말
무덤」이 있어 이곳에 백제의 여러 장병들이 묻혔다고 한다.
궁장골(弓葬)[골] : 시장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삼국시대말 백
제군이 5천 결사대로 신라의 5만군과 싸운후에 그 활을 묻었던
골이라 하여 궁장골이라 부르고 군장골 또는 군장곡이라고도 한
다.
꽃밭재[산] : 범골 골짜기 뒤에 있는 산으로 높이 174.5m이다.
넙적골[골] : 대석골 뒷산에 있는 골짜기이다.
노집들[들] : 소바우들 남쪽 아래쪽에 있는 들이다.
노집들보[보] : 소바우보 남쪽 아래쪽에 있는 보이다.
농바우[바위] : 범골 앞에 있는 큰 바위로 옛날 가뭄이 극심할때
에는 이 농바위에서 기우제를 지냈다고 한다.
대목재[고개] : 한림정에서 벌곡면 대목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대
목티라고도 한다.
대목티(大木峙)[고개] : 대목재라고도 하며 한림정에서 벌곡면
대목리로 넘아가는 고개이다.
대석골[마을] : 큰 메루리라고도하며 작은 메루리 남쪽 아래에
있는 마을이다.
대소말[마을] : 송정 옆에 있는 마을이다.
돌보[보] : 참봉 들보 남쪽 아래에 있는 보이다.
들보들[들] : 북계 앞에 있는 들이다.
말무덤[묘] : 궁장골 언덕에 있는 큰 무덤으로 백제군과 신라군
이 황산벌에서 싸운 후 전사한 장병들을 이곳에 장사지냈다도 한
다.
매누리[마을] : 한림정 위쪽에 있는 마을이다.
범골[골] : 꽃밭재와 안산 사이에 있는 골짜기로 산모양이 범같
이 생겼다고 한다.
범골(虎洞)[마을] : 소정 서쪽 들건너에 있는 마을로 호랑이가
마을을 지켜 준다하여 범골 또는 호동이라 부른다 한다.
부계[마을] : 북계라고도 하는데 범골 동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북계(北鷄)[마을] : 범골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닭이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라 하며 부계라고도 부른다.
사장골(死葬)[골] : 백제군과 신라군의 전쟁터로서 이때 죽은 병
사들의 시체가 산을 이루었다하여 시장동(屍葬洞)이라 불렀던 곳
이 사장골로 변하여 부른다 하며 시장골 또는 시장곡이라고도 부
른다.
산노리(山老里)[마을] : 한림정 옆에 있는 마을이다.
상송(上松)[마을] : 위 소정이라고도 하며 송정 위쪽에 있는 마
을이다.
소바우[바위] : 북계 서쪽 산기슭에 있는 바위로 모양이 소와 비
슷한데 호난선 철로를 놓을 때 두동강이가 나 있으며 우암이라고
도 부른다.
소바우들[들] : 부계와 작은 메루리 사이에 있는 들이다.
소정이[마을] : 송정리를 말하여 옛날 소나무 숲속에 정자가 있
었다 하여 소정이 또는 송정이라 하였다.
송정(松亭)[마을] : 송정리 또는 송정이라고도 하며 옛날 소나
무 숲에 정자가 있었다고 한다.
송정리 마애삼존불[고적] : 송정리 산의 8분 능선에 화강암벽에
음각하여 조성된 불상이다.
승적골[골] : 천호리에서 송정리에 이르는 첫 번째 골짜기이다.
시장곡(屍葬谷)[골] : 시정골 이라고도 하며 대복재 아래에 있
는 골짜기로 백제와 신라가 싸울 때 죽은 시체를 장사 지낸 곳이
라 한다.
시장골[골] : 시정골 이라고도 하며 대목재 아래에 있는 골짜기
이다.
시정골[골] : 대목재 아래에 있는 골짜기로 백제군과 신라군이
황산벌에서 싸우다 죽은 시체를 장사지냈다 하며 시장골 또는 시
장곡이라고도 한다.
시정골[마을] : 송정리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아래 소정이[마을] : 송정 아래 쪽에 있는 마을로 하송(下松)이
라고도 한다.
여칫거리[들] : 중개태 위쪽에 있는 들로 옛날에는 큰 길이 나있
었는데 현재는 들이 되었다.
우암(牛岩)[바위] : 소바우라고도 하며 북계 서쪽 산기슭에 있
는 바위로 모양이 마치 소와 같이 생겼다고 한다.
위소정이[마을] : 송정 위쪽에 있는 마을이라하여 위소정이 또
는 상송이라고도 한다.
작은갑금[골] : 승적골 폭포골 다음 남쪽 아래에 있는 골짜기이
다.
작은 메루리[마을] : 북계 남쪽 아래에 있는 마을이다.
장승백이[터] : 북계앞 도로변에 장승이 있었는데 10여년전에 도
로포장시 없어졌다.
조살미들[들] : 위 소정이 서쪽에 있는 들이다.
조살미보[보] : 위 소정이 서쪽 연산천을 막아 쌓은 보이다.
중개태(中開泰)[마을] : 한림정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개태골 중
간에 있다.
중개태들[들] : 중개태 옆에 있는 들이다.
중상골[골] : 백제의 5천 결사대가 신라군과 싸울 때 중상을 입
고 쓰러진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참나무배기[골] : 위 소정이 뒤에 있는 골짜기로 참나무가 많아
고 한다.
참봉들[들] : 아래 소정이 앞에 있는 들이다.
큰갑금[골] : 작은 갑금의 남쪽 아래 다음의 골짜기이다.
큼메루리[마을] : 작은 메루리 남쪽 아래에 있는 마을이다.
폭포골[골] : 승적골 남쪽 아래 다음의 골짜기로 폭포가 있다고
한다.
하송(下松)[마을] : 아래 소정이라고도 하며 소정이 아래쪽에 있
는 마을이다.
한림정(翰林亭)[마을] : 하송 남서쪽에 있는 마을로 한림학사를
지낸 남씨(南氏)가 정자를 짓고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밭들[들] : 성안들 남쪽 아래에 있는 들이다.
한밭보[보] : 천호리 개태 앞에 쌓은 보로 성안보 아래에 있다.
호동(虎洞)[마을] : 범골이라고도 하며 송정 서쪽 들건너에 있
는 마을로 호랑이가 마을을 지켜주었다고 한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