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어은리(漁隱里) 게시판 상세보기

[논산문화원] - 지명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어은리(漁隱里)
작성자 논산문화원 등록일 2002-06-03 조회 1235
첨부  
 
옛날 이마을에 연못이 있었는데 내수어(內水魚)가 많이 있어서
어지러운 세상을 등지고 낙향한 선비들이 이 연못에서 낚시를 즐
겼다 하여 어은(漁隱)또는 은곡(隱谷)이라 하였고, 변하여 은골
또는 어은동이라 했다. 연산군 백석면(白石面)의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사현리(沙峴里), 삼송리(三松里),
산소리(山所里), 일음리(日音里), 탄동리(炭洞里), 덕곡리(德谷
里)의 각일부를 병합하여 어은리라 하고 논산군 연산면에 편입하
였다.

행정구역은 어은 1, 2리로 되어 있으며, 인구는 97세대에 298명
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사실,
산소말, 새뜸, 어은, 일음골 등이 있다.

▶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개지바위[바위] : 돌띠기 골에 있는 바위로 형태가 마치 기와처
럼 생겼다고 한다.
고습들[들] : 벌터 앞에 있는 들이다.
고습들보[보] : 일음골 저수지를 막았던 보인데 지금은 없어졌
다.
구레들[들] : 고습들 남쪽 아래에 있는 들이다.
구정보리[마을] : 사포리와 어은이 경계에 있는 마을로 비가오
면 구정물이 많이 들어온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한다.
다락골[골] : 큰 산명이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대우티(大牛峙)[고개] : 사실에서 상월면 대우리로 넘어가는 고
개이다.
돌띠기[골] : 큰 산명이 아래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두터골[골] : 작은 산명이 앞산에 있는 골짜기이다.
밖산[산] : 향적산 남쪽에 있는 산으로 윗산명이라고도 한다.
배나무동[골] : 큰 산명이와 작은 산명이 사이에 있는 골짜기이
다.
벌터[마을] : 사포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도로 오른편에 있는
마을이다. 어은다리를 지나 자라산골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
이다.
동살미[얼음] : 작은 산명이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작은 마을
이다.
사실[마을] : 산소말 북쪽에 있는 마을로 사현이라고도 한다.
사실고개[고개] : 사실 북서쪽에 있는 고개로 사실에서 상월면
대우리 큰솔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이고개에 옛날 서낭당이 있었
다고 한다.
사티(沙峙)[마을] : 사현이라고도 하며 산소말 북쪽에 있는 마을
이다.
사현(沙峴)[마을] : 산소말 북쪽에 있는 마을로 사티라고도 한
다. 사실고개 아래에 있는 마을이며 새터말과 사실을 합하여 붙
여진 마을 이름이다.
사현(沙峴)[고개] : 사실고개라고도 하며 사실 북쪽에 있는 고개
이다.
사현고개[고개] : 사현 또는 사실고개라고도 하며 사실 북쪽에
있는 고개이다.
산소(山所)[마을] : 산소말이라고도 하며 벌터 북쪽에 있는 마을
이다.
산소말[마을] : 용적골 아래 벌터 북쪽에 있는 마을로 산소라고
도 한다.
상산(上山)[산] : 윗산명이라고도 하며 향적산 남쪽에 있는 산이
다.
상산티(上山峙)[고개] : 윗산명이 고개라고도 하며 윗산명이 옆
에 있는 고개이다.
새뜸[마을] : 벌터 위쪽에 새로된 마을이다.
새뜸천[내] : 일음골 저수지에서 흘러내리는 내로 새뜸, 벌터를
거쳐서 왕덕천으로 들어간다.
새터말[마을] : 사현이라고도 하며 산소말 북쪽에 있는 마을이
다.
서낭당[당] : 사실에서 상월면 대우리로 넘어가는 고개에 옛날
서낭당이 있었다고 한다.
서낭당고개[고개] : 사실고개 라고도 하는데 옛날 서낭당이 있었
다하여 서낭당고개라고도 부른다.
서당골[골] : 큰산명이 아래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송곳바우[바위] : 돌띠기 개지바위 아래쪽에 있는 바위로 형태
가 마치 송곳처럼 뾰족하게 되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수척골[산] : 자라산골 남쪽 옆에 있는 산이다.
수척골[마을] : 수척골산 아래에 있는 작은 마을이다.
아래산명이[산] : 윗산명이 남쪽에 있는 산으로 하산티 라고도
하며 높이 274m이다. 연산면과 두마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양지뜸[마을] : 차도로 왼쪽에 있는 마을로 윗 마을이 양지뜸이
고 아래 마을이 음지뜸이다.
어드메꼴[골] : 자라산골과 아래산명이 사이에 있는 골짜기이다.
어은(漁隱)[마을] : 옛날 세상을 등지고 낙향한 선비들이 이곳
방죽에서 낚시를 즐겼다 하여 어은 또는 어은동, 어은리라고도
부른다.
어은동(漁隱洞)[마을] : 어은 또는 어은리라고도 한다.
어은들[들] : 고습들이라고도하며 벌터 앞에 있는 들이다.
어은다리[다리] : 차도로에서 벌터로 들어가는 도로로 어은1교라
고도 하며 아래에는 새뜸천이 흐르고 있다.
어은다리[다리] : 벌터와 새뜸사이에 있는 다리로 어은2교라 하
며 아래에는 새뜸천이 르으고 있다.
어은저수지[못] : 벌터와 일음골 사이에 있는 저수지로 일음골
저수지라고도한다.
어은지(漁隱池)[못] : 어은저수지 또는 일음골 저수지라고도 한
다.
윗산명이[산] : 향적산 남쪽에 있는 산으로 일음골 북동쪽에 있
다. 높이 446m로 상월면, 연산면, 두마면에 걸쳐 있다.
윗산명이고개[고개] : 일음골에서 두마면 아래산명이로 넘어가
는 고개로 상산티라고도 한다.
윗산명재[고개] : 윗산명이 고개라고도 한다.
은골[마을] : 어은리를 은골이라고도 한다.
음지뜸[마을] : 양지뜸 아래쪽에 있는 마을로 차도로 왼편에 있
다.
일음골[마을] : 벌터 북동쪽에 있는 마을인데 사방으로 높은 산
으로 둘러 있어서 해가 늦게 뜨고 일찍 넘어가서 그늘이 많이 진
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하며 일음동 이라고도 한다.
일음골저수지[못] : 벌터와 일음골 사이에 있는 저수지로 어은저
수지라고도 한다.
일음동(日音洞)[마을] : 일음골이라고도 하며 벌터 북동쪽에 있
는 마을이다.
자라산골[산] : 벌터 서쪽에 있는 산이다.
자라산골[마을] : 자라산골 산 아래에 있는 작은 마을이다.
작은산명이[산] : 자라골 뒤에 있는 산으로 높이 274m 이며 아
래 산명이 라고도 한다.
장구목들[들] : 장구목골 동쪽 앞에 있는 들이다.
장구목보[보] : 고습들보 아래에 있던 보인데 지금은 없어졌다.
장구목산[산] : 수척골 남쪽 옆에 있는 산이다.
절터[터] : 윗산명이에 있던 절터이다.
정골[골] : 수척골과 장구목산 사이에 있는 골짜기이다.
철뚝샘[샘] : 벌처 앞에 있던 샘인데 지금은 없어졌다.
치마바우[바위] : 서당골에 있는 큰 바위로 마치 치마처럼 넓게
펼쳐져 있어서 치마바위라 부른다.
큰산명이[산] : 윗산명이라고도 하며 향적산 남쪽에 있는 산이
다.
큰솥고개[고개] : 사실에서 상월면 대우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대
우티라고도 한다.
탑(塔)[고적] : 일음골 앞산에 있는 돌로 쌓은 탑이다.
탑선산[산] : 어은리 서쪽에 있는 산으로 높이 219m인데 한천리
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터골[골] : 정골이라고도 하며 수척골과 장구목산 사이에 있는
골짜기이다.
하산(下山)[산] : 아래 산명이라고도 하며 윗산명이 남쪽에 있
는 산이다.
하삼티(下山峙)[고개] : 아래 산명이 고개라고도 하며 수척골 뒤
에 있는 고개이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