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한전리(閑田里) 게시판 상세보기

[논산문화원] - 지명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한전리(閑田里)
작성자 논산문화원 등록일 2002-06-04 조회 1111
첨부  
 
벌판이 있는 마을이라 하여 한밭 또는 한전이라 하였다. 본래
연산군 내적면(內赤面)의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하범리(下凡里), 흔황리(欣皇里), 수정리(水井里), 거정리
(居井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한전리라 하고 논산군 연산면에
편입하였다.

행정구역은 한전1, 2리로 되어 있으며, 인구는 124세대에 492명
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신개다
리, 범나미, 아래범나미, 원한전, 한밭, 흔황 등이 있다.

▶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매전교[다리] : 한전리에 있는 다리인데 길이 14m이다.
백구교(白狗橋)[다리] : 신개다리라고도 하며 한전 북거쪽 청동
리와 한전리 사이에 있는 다리이다.
백구교(白狗橋)[마을] : 한전 북서쪽 신개다리가 있는 마을로 선
개다리라고도 한다.
번답(繁沓)[논] : 한전리를 말하며 청동리를 번성시키는 논이 있
다하여 번답이라고도 부른다 한다.
범나미[마을] : 임리와 한전리에 걸쳐 있는 마을로 범남이라고
도 한다.
범남(凡南)[마을] : 범나미라고도 한다.
수정교(水井橋)[다리] : 한전 남쪽에 있는 다리로 길이가 9m이
다.
신개다리[마을] : 한전 북서쪽 신개다리가 있는 마을이다.
신개다리[다리] : 한전 북서쪽에 있는 다리로 옛날에는 큰 나무
로 다리를 놓았었다고 한다. 한전리와 청동리 사이에 있는 다리
이다.
아래범나미[마을] : 범나미 아래쪽에 있는 마을로 하범 또는 외
호라고도 한다.
외호(外虎)[마을] : 아래 범나리 또는 하범 이라고도 하며 범나
미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다.
원한전(元閑田)[마을] : 한전의 원래의 마을이다.
중지보[보] : 한전 앞에 있는 보이다.
중지봇들[들] : 들에 중지보가 있다하여 중지봇들이라 부른다.
하범(下凡)[마을] : 아래 범나미라고도 하며 범나미 아래쪽에 있
는 마을이다.
한밭[마을] : 한전리라고도 하며 마을에 큰 벌판이 있다하여 한
밭 또는 한전이라하였다.
한전(閑田)[마을] : 큰 벌판이 있는 마을이라하여 한전 또는 한
밭이라 하였다.
흔왕리(欣旺里)[마을] : 한전 남쪽에 있는 마을로 흔황 또는 흔
황리 라고도 한다.
흔황(欣皇)[마을] : 한전 남쪽에 있는 마을로 흔왕리 또는 흔황
리라고도 한다.
흔황리(欣皇里)[마을] : 흔황 또는 흔황리라고도하며 한전 남쪼
에 있는 마을이다.

▶호랑이가 개를 잡아 먹었다는 신개다리

연산면 한전리라 청동리 사이에 신개다리가 있다.
옛날 허씨부인은 17세때 연산 관찰사르 지낸 김약채의 아들 김
문과 결혼하였다. 그런데 남편 김문이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
고 말았다. 어린 나이에 청상 과부가된 허씨 부인은 개가 하라
는 친정식구들의 권유를 뿌리치고 몸종 하나만을 데리고 말만듣
던 연산땅을 찾아 나섰다. 그러던 어느날 산중에서 길을 잃고 헤
매고 있는데 호랑이 한 마리가 나타나더니 길을 인도하는 것이었
다. 연산 이곳 다리까지 온 호랑이는 잠시 어디를 가더니 개 한
마리를 몰고와 이 다리에서 먹고 난 후 관찰사가 사는 동네까지
와서 호랑이는 어디로인지 사라졌다.
다행히 허씨부인에게는 태기가 있어 유복자를 훌륭히 키워 자손
이 번성하여 훌륭한 인재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배출되었다. 허
씨부인이 죽은 후 절려를 내렸고 정경부인의 시호를 제수하였다.
그래서 호랑이가 개를 잡아먹은 다리라 하여 「신개다리」라 부
른다고 한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