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홈으로
사이트맵
논산 문화원
주메뉴영역
문화원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소개마당
인사말
연혁
조직 및 업무
오시는 길
시설현황
문화소식
문화소식
공지사항
사진 자료실
영상 자료실
문화학교
문화학교소개
문화학교강좌
논산의 문화
국가유산
역사
인물
민속
지명
참여마당
회원가입
대관안내
발행도서현황
발행도서현황
메뉴보기
모바일용 메뉴
천안시동남구문화원
도내문화원 바로가기
공주문화원
금산문화원
논산문화원
당진문화원
보령문화원
부여문화원
서산문화원
서천문화원
예산문화원
온양문화원
천안시동남구문화원
천안시서북구문화원
청양문화원
태안문화원
홍성문화원
사이트맵
소개마당
인사말
연혁
조직 및 업무
오시는 길
시설현황
문화소식
문화소식
공지사항
사진 자료실
영상 자료실
문화학교
문화학교소개
문화학교강좌
논산의 문화
국가유산
역사
인물
민속
지명
참여마당
회원가입
대관안내
발행도서현황
발행도서현황
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홈페이지가이드
문화소식
논산의 문화
홈
논산의 문화
페이스북
트위터
인쇄
총게시물 :
206
/
페이지 :
11/21
게시물검색
검색조건
제목
글내용
작성자
석종리(石宗里)
노성군 상도면(上道面)의 지역으로 돌이 많아서 돌마루 또는 석종(石宗)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석전리(石田里), 대명동(大明洞)의 각 일부와 공주군 익구곡면(益口谷面)의 양화리(陽化里) 일부와 ...
작성자 :
논산문화원
조회 :
1074
2002.05.09
상도리(上道里)-2
▶통수(通手)바위상월면 상도리의 두마면 부남리 경계에 통수바위라고 하는 바위가 있다.옛날 계룡산 아래에 한 부부가 살고 있었는데 아들 하나 없는것이 한이되어 계룡산 산신령께 정성껏 빌었다. 그러던 어느날꿈속에 산신령...
작성자 :
논산문화원
조회 :
848
2002.05.09
상도리(上道里)-1
노성군의 지역으로 노성천(魯城川)을 따라 내려오는 큰 길을 위아래로 나누어 위쪽을 상도(上道)라 하고, 아래쪽을 하도(下道)라 하였다. 또 노성군 상도면(上道面)으로 후동(後洞), 대명동(大明洞), 대우(大牛), 소...
작성자 :
논산문화원
조회 :
1086
2002.05.09
산성리(山城里)
노성군 월오면(月午面)의 지역이었는데 노성산성(魯城山城)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산성골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폐합에 따라 원동(院洞), 주막리(酒幕里), 학당리(鶴塘里)의 각일부와 읍내면(邑內面)의 천재...
작성자 :
논산문화원
조회 :
893
2002.05.09
대촌리(大村里)
노성군 상도면(上道面)의 지역으로 이 부근에서 가장 큰 마을이라하여 대촌대촌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안산리(雁山里), 신평리(新坪里), 궁동(弓洞), 촌산리(村山里),반곡리(盤谷里), 무동(舞洞)...
작성자 :
논산문화원
조회 :
831
2002.05.09
대우리(大牛里)
노성군 상도면의 지역으로 큰소울, 큰솔, 대우동(大牛洞)이라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소우동(小牛洞)을 병합하여 대우리(大牛里)라하여 논산군 상월면에 편입되었다.행정구역은 대우리 1리로 되어 있으며, ...
작성자 :
논산문화원
조회 :
866
2002.05.09
대명리(大明里)-2
▶불효로 천벌 받은 행상바위상월면 대명리 사잣골 마을의 산능선에 상여를 따가라는 듯한모습의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를 행상 바위라고한다.고려 말엽 한 선비가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지조를 지티기 위해 벼슬을 버리고 이곳...
작성자 :
논산문화원
조회 :
798
2002.05.09
대명리(大明里)-1
노성군 상도면(上道面)의 지역으로 강줄기르 경계로하여 지형이 마치 대망이와 같다하여 대망골이라 불렀다 한다. 그후 무안박씨(務安 朴氏)가 살면서 대명동이라 부르게 되었는데 1914년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후동(後洞),...
작성자 :
논산문화원
조회 :
874
2002.05.09
논산 평야의 젖줄 탑정저수지(탑정리)
부적면 탑정리에 위치하고 있는 탑정 저수지는 대둔산에서 발원하여 양촌면 인천(仁川)으로 흘러내리는 물을 수자원으로 하여저수량 31,610 천톤, 만수면적 636㏊, 제방높이 17.8m, 제방길이 573m, 수심 12...
작성자 :
논산문화원
조회 :
853
2002.05.09
탑정리(塔亭里)
고려때 개태사가 번창했을 때 많은 사찰과 암자가 산재해 있었다고 한다. 고려말엽 개태사의 비구승 대명(大明) 죽은 후 사리(舍利)를 발견하여 보전하기 위해 사리석탑 3층을 여기에 세웠다고 한다. 그후 충청도 감찰사 ...
작성자 :
논산문화원
조회 :
1463
2002.05.09
««
«
11
12
13
14
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