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홈으로
사이트맵
태안 문화원
주메뉴영역
문화원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소개마당
인사말
연혁
조직 및 업무
시설현황
대관안내
오시는길
태안의문화
역사
문화재
지명 및 전설
민속
인물
문화소식
문화소식
문화학교
문화탐방
공지사항
축제행사
자료마당
일반자료실
사진자료실
영상자료실
갤러리
참여마당
회원가입
자유게시판
역사문화관광
문화체육자원봉사자
사이버향토사료관
소개
발행도서현황
사이버향토사료관
지역N문화
메뉴보기
모바일용 메뉴
천안시동남구문화원
도내문화원 바로가기
공주문화원
금산문화원
논산문화원
당진문화원
보령문화원
부여문화원
서산문화원
서천문화원
예산문화원
온양문화원
천안시동남구문화원
천안시서북구문화원
청양문화원
태안문화원
홍성문화원
사이트맵
소개마당
인사말
연혁
조직 및 업무
시설현황
대관안내
대관안내
대관현황
오시는길
태안의문화
역사
문화재
지명 및 전설
민속
인물
문화소식
문화소식
문화학교
운영방침
수강신청
문화탐방
운영방침
참가신청
공지사항
축제행사
자료마당
일반자료실
사진자료실
영상자료실
갤러리
참여마당
회원가입
자유게시판
역사문화관광
문화체육자원봉사자
사이버향토사료관
소개
발행도서현황
사이버향토사료관
지역N문화
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홈페이지가이드
문화소식
지명 및 전설
홈
태안의문화
지명 및 전설
페이스북
트위터
인쇄
총게시물 :
67
/
페이지 :
2/7
게시물검색
검색조건
제목
글내용
작성자
[태안읍] 참새 떼와 뱀이 혈투를 벌인<사절미산>
[태안읍] 참새 떼와 뱀이 혈투를 벌인사절미산사절미산은 태안읍 송암리 1구에 위치 하고있는 조그마한 야산이다. 공부상에는 송암리에 위치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송암리 1구와 반곡리 1구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비...
작성자 :
태안문화원
조회 :
875
2016.06.15
[태안읍] 학을 날려보낸<파명당>
[태안읍] 학을 날려보낸파명당파명당 자리는 현재 태안읍 도내리 1구 53번지에 있는 집터를 말 하는데, 파명당이란 글자 그대로 명당을 파했다는 뜻이다. 즉 명당의 효력이 없어졌다는 말인데, 본래 명당이란 풍 수지리 ...
작성자 :
태안문화원
조회 :
1439
2016.06.15
[태안읍] 황부자와 정부자 이야기 황정말
[태안읍] 황부자와 정부자 이야기 황정말이 황정마을은 태안읍 평천리 3구에 있는 자연 부락 이름인데,「마을」이 「말」로 줄어들어 황정말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이 마을에서 언제부터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는지는 잘 알 수...
작성자 :
태안문화원
조회 :
704
2016.06.15
[태안읍] 흑화산 되면 큰인물 난다는 백화산(白華山)
[태안읍] 흑화산 되면 큰인물 난다는 백화산(白華山)백화산은 태안읍 동문리에 우뚝 솟은 해발284미터의 진산(鎭山) 이다. 산 전체가 흰 돌(白石)로 덮여있어 그 모양이 매우 괴이한 데, 봄이면 마치 부용화 같기도 ...
작성자 :
태안문화원
조회 :
861
2016.06.15
[태안읍] 오만한 관속들에게 씌운 질갓(陶冠)
[태안읍] 오만한 관속들에게 씌운 질갓(陶冠)현재의 태안읍사무소 정문 입구 왼쪽에 많은 기념비가 세워져 있 는데,그 중에는 군수 송관화(郡守宋觀和) 의 선정비가 포함되어있다. 송군수는 문벌이 높은 재상가의 아들로서 ...
작성자 :
태안문화원
조회 :
763
2016.06.15
[이원면] 세가지 뜻을 지닌<사목마을>
이 마을은 이원면 내리에 있는데 옛날부터 세가지 의미가 담긴전설과 실화가 있어 사목(沙項), 사목(司牧), 사목(巳目) 등으 로 표현되고 있다. 첫째, 사목(沙項)은 한자와 우리말의 합성어 로 대자연의 형태를 상징함...
작성자 :
태안문화원
조회 :
724
2016.06.15
[이원면] 황룡을 잘못쏘아 죽인 숨은 고개의 사연
이원면 내리, 이곳은 태안군의 맨 서쪽 끝에 있는 돌출한 해안인 데, 이 마을에는 숨은고개라는 조그마한 산이 있다. 산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작다는 생각이 드는 이 능선에 나즉한고개가 있는데 이 고개에 오르면 서해바다...
작성자 :
태안문화원
조회 :
754
2016.06.15
[이원면] 용이 도닦고 승천한<용낭굴>
[이원면] 용이 도닦고 승천한용낭굴용낭굴은 이원면 내리 2구의 속칭 만대라고 하는 중막굴에 있다. 이 중막굴에는 꾀깔(고깔)봉이 있고, 이 꾀깔봉 앞에는 여섬이덩그렇게 보이는데, 바닷물이 빠져 나가면 육지와 연결되어...
작성자 :
태안문화원
조회 :
583
2016.06.15
[이원면] 장구 같이 생긴"장구도(長鼓島)"
[이원면] 장구 같이 생긴"장구도(長鼓島)"장구도는 조그마한 섬으로 이원면 내리 앞바다에 있는데 마치 장 구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이 장구도의 유래에 대하여 살펴보면다음과 같다. 조선조의 세조때에 순절한 충의공 김...
작성자 :
태안문화원
조회 :
672
2016.06.15
[원북면] 삽살이의 보은
[원북면] 삽살이의 보은부엉이가 알을 낳고 사는 곳은 주로 바위틈이나 깊은 굴이라 한 다. 부엉이는 이런 곳에 요람을 만들고 살아가는, 주로 밤에만활동하는 날짐승이다. 비라도 축축히 내리는 날 부엉이가 우는 소리를 ...
작성자 :
태안문화원
조회 :
1372
2016.06.15
««
«
1
2
3
4
5
»
»»